“자력으로 빚갚기도 버겁다” 부실위기 중기 3년만에 최대

한우람 기자(lamus@mk.co.kr) 2022. 12. 19. 23: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기업 빌딩 [사진 = 연합뉴스]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국내 부실징후 기업 숫자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고 있다. 코로나19 지원금, 대출만기 연장을 비롯한 정책지원으로 인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던 국내 기업대출 연체율이 최근 반등세로 돌아선 것과 궤를 같이하는 움직임이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로 대표되는 이른바 3고(高) 여파로 인한 경기침체 가능성이 기업 부실로 현실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금융권은 바짝 긴장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2022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 부실징후기업으로 전년 대비 25개가 늘어난 185개를 선정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부실징후기업 숫자가 210개에 달했던 2019년 이후 최고치로 2018년 190개에 근접한 숫자다. 특히 부실징후 중소기업 숫자는 지난해 157개에서 올해 183개로 26개 늘어난 반면 부실징후 대기업 숫자는 지난해 3개에서 올해 2개로 감소했다.

부실징후기업은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에 따라 채권은행이 거래기업을 대상으로 연1회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신용위험평가에서 C·D등급을 받은 기업을 뜻한다. 외부 자금지원이 없을 경우 기업의 대출 상환 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진 곳들이다. C등급 기업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은 높지만 부실징후가 뚜렷한 기업이고, D등급 기업은 경영정상화 가능성마저 낮은 부실징후 기업이다.

채권은행들은 코로나19 지원금에 따른 기업 건전성 착시효과와 경기 하강 가능성이 금융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평가대상 기업을 지난해 3373개에서 올해 3588개로 215개 늘렸다.

금융감독원은 “한계기업 증가와 복합위기에 따른 중소기업 경영악화가 심화됐다”며 “평가 대상 확대에 따른 자연 증가분 외에도 D등급을 중심으로 부실징후기업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D등급 부실징후기업 숫자는 2019년 151개에서 지난해 81개로 크게 줄었었지만, 올들어 101개로 다시 늘었다.

더 큰 문제가 내년에 찾아올 수 있다는 점은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글로벌 정책금리 인상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끝이 보이지 않음에 따라 ‘복합위기’에 따른 경기하강 후폭풍이 내년에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여기에 코로나19로 피해를 본 자영업자·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상환 유예 기간이 내년 9월 종료된다. 코로나19로 인해 이미 허약해졌던 영세기업 체력이 결국에는 고갈될 수 밖에 없다는 얘기가 나오는 대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아직까지 부실징후기업 숫자가 의미있는 수준으로 올라왔다고 보긴 어렵다”며 “그럼에도 내년 경제 상황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경우 만기 연장을 비롯한 대출 연착륙 정책 노력에도 부실이 로켓처럼 솟아오를 가능성이 상존한다”고 말했다.

국내 은행 기업대출 연체율은 올 상반기말 0.22%로 역대 최저 수준을 찍은 뒤 지난 10월말 0.26%로 0.04%포인트 반등했다.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 반등폭은 같은 기간 0.24%에서 0.30%로 0.06%포인트에 달해 시계열 데이터상 추세 반등이 점차 뚜렷해지고 있는 모습이다.

금감원은 정부, 금융권과 협력해 ‘오너가 기업을 살릴 수 있는 방안을 찾고 금융·비금융 지원을 병행할 경우 살릴 수 있는 기업’에 대한 맞춤형 금융지원 계획도 밝혔다.

먼저 신용위험평가 C등급 기업 중 워크아웃 신청기업에 대해서는 기업 자구 노력을 전제로 채권단 금융지원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한다. 현재는 정상기업이지만 향후 부실징후기업이 될 가능성이 큰 B등급 기업에 대해서는 채권은행의 신속금융지원, 프리워크아웃을 포함한 경영개선프로그램을 통해 금리할인, 만기연장 등 금융 지원에 나선다.

아울러 산업부의 은행권 추천기업에 대한 사업재편승인 절차 간소화, 중기부의 신용위험평가등급에 따른 금융지원, 캠코의 워크아웃 기업을 위한 신규대출·지급보증 제공 등 제도적 기업 지원 과정에 은행권 참여를 확대한다. 금융지원 외에도 사업구조 개편, 진로 컨설팅 등 비금융 지원을 동시에 제공해 정책 효율성을 더욱 높인다는 복안이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