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정찰위성 최종 시험 성공”…촬영했다는 서울 사진 ‘흐릿’

박광연·박은경 기자 2022. 12. 19. 20:3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8일 발사한 미사일 2발은 시험 목적 주장 “내년 4월 마무리”
전문가들 “해상도 등 기술 수준 미달”…김정은 치적용 분석
눈 안 보이는 서울…18일 촬영 맞나? 북한이 지난 18일 위성시험품에서 촬영했다면서 인천항(왼쪽)과 서울 도심(오른쪽) 사진을 19일 공개했다. 뉴스1

북한이 19일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 시험에 성공했다며 내년 4월까지 사실상 발사 준비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에서 촬영한 서울과 인천항 주변 위성사진도 공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국가우주개발국은 12월18일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의 중요 시험을 진행하였다”며 “우주환경 조건에서의 촬영기 운용기술과 통신장치들의 자료처리 및 전송 능력, 지상 관제체계의 추적 및 조종 정확성을 비롯한 중요기술적 지표들을 확증했다”고 밝혔다.

남측이 전날 포착한 북한의 준중거리탄도미사일(MRBM) 2발 발사는 정찰위성 개발 목적의 시험이었다는 것이다.

통신은 “위성시험품을 운반체에 탑재하여 고도 500㎞까지 고각 발사”했다며 ‘위성시험품’에 대해 “20m 분해능 시험용 전색촬영기 1대와 다스펙트르(다스펙트럼) 촬영기 2대, 영상송신기와 각 대역의 송수신기들, 조종장치와 축전지 등”이라고 설명했다. 통신은 이어 “국가우주개발국은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발표하였다”고 전했다.

북한이 지난 8일 평북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정찰위성 개발 시험용이라며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모습을 노동신문이 19일 보도했다. 뉴스1

북한은 지난 15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고체연료 엔진 작동 시험을 진행했다. 정찰위성과 고체연료 엔진 개발은 지난해 당대회에서 제시된 국방력 강화의 핵심 과제다. 박원곤 이화여대 교수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올해 성과가 거의 없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군사적 업적을 내세우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내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내겠다고 밝히면서 김일성 주석 생일(4월15일)과 인민군 창건일(4월25일) 등을 계기로 정찰위성 발사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통신은 서울 도심과 인천항 주변이 찍힌 위성사진을 공개했다. 인구가 밀집한 남한 주요지역에 대한 정찰 역량이 존재함을 내비치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일반적으로 정찰위성은 국경 감시, 군사표적 감시, 표적 변화 탐지 및 식별, 작전지도 작성 등 군사적 목적으로 쓰인다. 그러나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 대해 전문가들은 군사 정찰위성으로 쓰기에는 수준 미달이라는 평가를 내놨다.

신종우 한국국방안보포럼 사무국장은 통화에서 “연료 화염과 엔진 노즐부 외형으로 볼 때 북한이 주장하는 정찰위성 시험에는 탄두부를 개조한 노동미사일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면서 “날씨가 좋은 데다 낮에 찍은 두 장의 사진만으로는 정찰위성으로 보기에 무리가 있다. 기술적으로 굉장히 조악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장영근 항공대 교수는 “20m의 해상도는 위성용 전자광학카메라에서는 상당히 낮은 수준으로 군사용으로 활용하는 것은 극히 제한적”이라면서 “다만 관측폭이 넓다면 한 번에 넓은 지표면의 관측이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다”고 설명했다. 또 북한이 발표한 서울 및 인천 지역의 영상은 미사일 비행 중 위성체를 서울 방향으로 틸팅(Tilting·각도조절)해 촬영한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이 경우 해상도는 20m보다도 열악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전체적으로 북한의 위성기술 수준은 2012년 발사한 인공위성 광명성 3호와 2016년 발사된 광명성 4호 수준에서 크게 진전된 것으로 보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우주용 구성품과 전자부품 수급, 소재 기술이 제한적인 북한으로서는 위성기술을 발전시키는 데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날 공개한 사진 자체가 전날 정찰위성 시험에서 촬영한 것이 맞는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사진 속 서울 지역에 눈이 거의 포착되지 않기 때문이다.

박광연·박은경 기자 lightyear@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