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카메라]주민 반발에 데이터센터 건설 ‘먹통’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두 달 전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 먹통 사태가 발생하면서, 메신저 뿐만 아니라 송금·결제 택시까지.
세상이 멈춘 줄 알았다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이렇게 디지털 사회의 핵심 인프라가 되어버린 데이터 센터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크게 늘고 있는데요.
그런데 세우려는 곳마다 지역사회의 강한 반발에 부딪치고 있습니다.
그 이유를 현장카메라 정다은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파트 단지에 현수막이 여러 개 붙어있습니다.
아파트 바로 앞에 데이터센터가 들어서는 것을 반대하는 입주민들이 내걸었는데요.
주민들이 데이터센터를 반대하는 이유, 현장에서 알아보겠습니다.
주민들은 데이터센터가 유해시설이라고 주장합니다.
[조만식 / 경기 안양시]
"저 도로가 10m 밖에 안 돼요. 코앞에서 보는 것 같아요. 전자파가 유해하다는 그런 얘기도 있는데."
[노국천 / 경기 안양시]
"냉각탑을 돌리면 이물질이 발생할 수 있고. 각종 유해 물질이 주거지역으로 유출되니까…."
민원이 잇따르자 시에서는 전자파와 소음, 발암물질에 대한 연구를 의뢰했습니다.
하지만 모두 법적 허용치 안에 들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안양시 관계자]
"법적 기준 안에 들어간다고 하니까 저희도 참 막기에 어려움이 많습니다."
이미 운영 중인 데이터센터도 분쟁이 끊이질 않습니다.
주민들이 소음 피해를 호소하자,
[임길영 / 경기 안양시]
"저 냉각탑 소리가 비행기 뜨는 소리같이 납니다. 소음으로 인해서 잠도 잘 안 오고."
데이터센터 측은 법적 기준을 지켰다면서도 방음벽을 세우는 대책을 마련 중입니다.
민간 데이터센터의 73%는 인구가 밀집된 수도권에 몰려 있는 상황.
땅값이 비싸고 주민 반발에 부딪쳐도 도시를 선호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나연묵 / 단국대 컴퓨터공학과 교수]
"전력과 통신 케이블이 얼마나 가까이 있느냐도 굉장히 중요한 요소죠. 가까울수록 전력 설치 공사 비용이 저렴해지는 거죠. 수도권이 훨씬 유리한 입지 조건이고요."
그런데 주민들은 전력선을 가장 걱정합니다.
[신모란 / 경기 김포시]
"학교도 지금 40m 밖에 안 돼요. 전자파 문제도 있기 때문에 아이를 키우는 부모의 입장에서는 많이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전기를 끌어오기 위해 땅속에 특고압선을 매설하는데, 주변에서 전자파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겁니다.
[현장음]
"공사 중단! 공사 중단!"
현행 법적 기준으로는 지하 1m 밑으로 묻으면 되지만, 이 기준이 너무 허술하다고 주장합니다.
[김정아 / 안양 특고압선 반대 시민모임 대표]
"1m 내지 2m에 묻어놓고 합법적이라고 얘기하면서 그걸 시민에게 감수하라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현장카메라팀은 전기공학과 환경보건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대부분 연구 데이터가 부족해 땅 속 전자파가 얼마나 유해한지 판단할 수 없다고 대답했습니다.
데이터센터는 2025년까지 188곳으로 늘어나고, 주민 반발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박동욱 / 한국방송통신대 보건환경학과 교수]
"주민이 사는 공간에서 얼마나 떨어졌고, 얼마나 (전자파가) 나오고 이런 게 과연 영향을 미치는지, 아닌지에 대한 토론이 필요한데…."
디지털 사회의 핵심 인프라지만 신종 혐오시설로 떠오른 데이터센터.
주민 불안을 덜어줄 과학적 대책과 갈등 조정을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현장카메라 정다은입니다.
PD : 윤순용 장동하
AD : 석동은
정다은 기자 dec@ichannela.com
Copyright © 채널A.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