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고성장 끝"… 韓경제전략 다시 짜야
로고프 "美·유럽 자본, 중국 이탈 … 한국, 반사이익 노릴 기회"
조동철 "韓경제 최대 리스크는 부동산, 실물충격 이제 시작"
"중국은 향후 10년간 연 2~3% 성장에 그칠 것이다. 인프라스트럭처 건설을 통한 중국의 경제성장 모델은 이제 끝났다."
글로벌 경제위기 분석으로 세계적 명성을 얻은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석좌교수가 19일 미국과 함께 글로벌 경제의 양대 축인 중국의 고성장 가도에 빨간불이 켜졌다고 진단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부진이 지속된다면 수출 의존도가 높은 한국의 성장 전략에도 전면적 수정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매일경제 주최로 열린 '경제위기 극복 대토론회'에서 로고프 교수는 "중국의 성장률은 지난 10년보다 훨씬 낮아질 것"이라며 "미국과 유럽은 더 이상 중국에 투자하지 않는다. 완전히 발을 빼지는 않겠지만 기피 현상이 뚜렷하다"고 말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글로벌 금융기관들의 내년 중국 성장률 전망치는 평균 4.8%다. 중국이 최근 '제로 코로나'에서 '위드 코로나'로 정책 전환에 나섰지만 중국 정부가 제시한 5%대 성장률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중국의 저성장은 한국에는 '양날의 검'이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내놨다. 로고프 교수는 "한국이 반사이익을 누릴 수 있다"며 "한국이 생산성 둔화를 겪는 것은 해외자본 유치가 부진한 것도 원인인데 (한국이 중국으로 갈 자금을 끌어들인다면) 다시 생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로고프 교수는 당분간 고금리, 고물가 시대가 지속될 것이라며 글로벌 경기의 '소프트랜딩'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라고 조언했다. 로고프 교수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최종 금리를 5.0~5.5%까지 인상할 것으로 본다"며 "2024~2025년이 되면 인플레이션은 완화되겠지만 금리가 예전 수준으로 돌아갈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도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부동산시장"이라며 "자산시장과 관련된 금융시장이 불안해질 가능성이 있고 거기에서 파급되는 가격 하락이 상당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가계자산의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부동산 자산 가격의 급락이 고스란히 소비와 내수에도 전이될 것으로 우려했다. 조 원장은 "금리 인상이 주식, 채권, 외환시장을 거쳐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누적된 금리 인상의 효과가 실물경제에서 본격적으로 나타날 것이고, 내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미국발 긴축에 따른 전 세계적 위기 가능성에는 선을 그었다. 로고프 교수는 "인플레이션 속에 금리도 오르기 때문에 경기 침체가 예상되며 신흥국은 더욱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2008년과 같은 위기는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성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우승하면 ‘옷벗겠다’ 공약 논란…크로아티아 미녀 직접 입 열었다 - 매일경제
- 태아 시신을 제단에 올리다니…트럼프 지지 美신부의 최후 - 매일경제
- 소속팀 복귀 이강인, 동료들에게 맞고 차이고…격한 ‘환영식’ - 매일경제
- 그 많던 임의가입자 어디로…‘국민연금’ 어쩌다 이지경까지 - 매일경제
- “푸틴, 조만간 중대발표”...우크라와 대규모 격전 이어질까 - 매일경제
- “한국학생들 정말 이걸 풀어?” 美교수 경악한 ‘수능 클라쓰’ [매부리TV] - 매일경제
- 노소영의 반격… “최태원 SK주식도 분할” 이혼소송 1심 항소 - 매일경제
- “월드컵 우승컵도 우리 것”…본선 탈락 中 누리꾼 황당 주장 - 매일경제
- “대관식 같았다”…시상식서 메시가 걸친 검은 망토의 정체 - 매일경제
- 셀틱 감독, 조규성 영입하면 적응 직접 돕는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