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 해외 원전 수주에 국가적 역량 결집해야
최근 신한울 1호기가 착공 12년 만에 상업운전을 시작했다는 낭보가 전해져왔다.
지난 8월에는 3조원 규모 이집트 원전건설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10월에는 폴란드 신규 원전건설에 협력하기로 하는 등 정부 출범 이후 의미 있는 성과들이 있었다.
이전 정부의 탈원전 정책으로 고사 위기에 놓였던 국내 원전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게 됐다는 점에서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다. 모쪼록 이번 수주가 '잃어버린 5년'을 뛰어넘어 원전 수출의 마중물이 되길 바란다.
지난 5년간 탈원전 정책으로 세계 최강 원전 기술이 해외 원전시장에서 크게 위축됐다. 원자력 산업은 퇴보를 계속했고 관련 기업도 줄도산했다. 원전기업의 대규모 적자, 무너진 생태계 등을 단시간에 복원하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것이다. 원전업계 역시 지난 60년간 피땀으로 이룩해온 기술력을 다시 살리는 데도 많은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대학의 원전 관련 학과 지원자가 없어 전문인력을 양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인력의 해외 유출도 심각한 상황이다.
현 정부는 '탈원전 폐기'를 선언하고 '원전 유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부존자원이 없는 우리로서는 불가피한 선택으로 이제 원전 생태계 복원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됐다. 국민 모두 탈원전을 폐기한 새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거는 기대가 크다.
우리의 원전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풍부한 원전건설 및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성과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추고 있다. 한국 기술의 우수성과 가성비를 계속 살린다면 원전 수출 강국으로 충분히 발돋움할 수 있다. 정부는 원전 수출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과 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치밀한 세부 실행계획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원전 수출은 나라별 여건과 복잡한 국제 관계를 따져야 하는 만큼 치밀한 전략과 외교적 지원이 필수다. 해외 수주전에서는 정부와 원전업계의 일사불란한 대응으로 국가적인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 원전기업이 사업 추진에 애로가 없도록 과감한 투자와 법적·제도적 뒷받침 작업도 서둘러야 할 것이다. 원자력 산업이야말로 대한민국 현재와 미래의 확고한 성장동력이다.
[김동석 직업상담사]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우승하면 ‘옷벗겠다’ 공약 논란…크로아티아 미녀 직접 입 열었다 - 매일경제
- 태아 시신을 제단에 올리다니…트럼프 지지 美신부의 최후 - 매일경제
- 소속팀 복귀 이강인, 동료들에게 맞고 차이고…격한 ‘환영식’ - 매일경제
- 그 많던 임의가입자 어디로…‘국민연금’ 어쩌다 이지경까지 - 매일경제
- “한국학생들 정말 이걸 풀어?” 美교수 경악한 ‘수능 클라쓰’ [매부리TV] - 매일경제
- “푸틴, 조만간 중대발표”...우크라와 대규모 격전 이어질까 - 매일경제
- 노소영의 반격… “최태원 SK주식도 분할” 이혼소송 1심 항소 - 매일경제
- “대관식 같았다”…시상식서 메시가 걸친 검은 망토의 정체 - 매일경제
- "예적금·채권에 당분간 돈 넣고, 내집마련은 2년 뒤를 노려라" - 매일경제
- 셀틱 감독, 조규성 영입하면 적응 직접 돕는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