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해수면 33년(1989~2021년) 간 평균 9.9㎜ 높아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89년부터 2021년까지 33년 동안 우리나라 해수면 높이가 평균 9.9㎝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 우리나라 연안 21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해수면은 지난 33년간 매년 평균 3.01㎜씩 상승했다.
우리나라에서 관측 기간이 가장 오래된 목포 조위관측소의 약 60년 간 해수면 높이를 분석해 보니 연평균 2.49㎜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 기간 15.4㎝가 높아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후위기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책 마련 시급
1989년부터 2021년까지 33년 동안 우리나라 해수면 높이가 평균 9.9㎝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서는 연 평균 2.80㎜의 상승률이 관측됐다. 1990년대보다 최근 10년의 상승 속도는 10% 이상 증가한 것이어서 기후위기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해양수산부 국립해양조사원이 우리나라 연안 21개 조위관측소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해수면은 지난 33년간 매년 평균 3.01㎜씩 상승했다. 해역별로는 동해안이 연 3.5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서해안(연 3.08㎜), 남해안(연 2.55㎜) 등의 순이었다. 관측지점별로 보면 울릉도 연 5.29㎜, 포항 연 3.97㎜, 보령 연 3.27㎜, 군산 연 3.16㎜, 속초 연 3.15 ㎜ 등이었다. 부산은 연 평균 2.80㎜, 가덕도는 2.73㎜, 울산은 2.57, 통영은 2.16㎜로 파악됐다. 우리나라에서 관측 기간이 가장 오래된 목포 조위관측소의 약 60년 간 해수면 높이를 분석해 보니 연평균 2.49㎜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 기간 15.4㎝가 높아졌다.
학계 등에서는 해수면 상승이 전 세계적 현상이기는 하지만 우리나라도 대응책을 세워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지난 2020년 국제 환경단체인 그린피스는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실린 자료를 바탕으로 2030년까지 한국 국토의 5% 이상이 이상기후 및 해수면 상승으로 바다에 잠겨 300만 명 이상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전망을 하기도 했다.
이에 국립해양조사원은 ‘정부간 기후변화에 관한 협의체(IPCC)’의 기준에 따른 지역 해양기후 수치예측 모형을 구축해 우리 연안에 적합한 ‘고해상도 해수면 상승 전망치(~2100년)’를 준비하고 있다. 이 자료는 분석이 완료되는 대로 공식 발표된다. 변재영 국립해양조사원장은 “기후 위기에 대응해 연안 관리에 필요한 해수면 상승 현황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장기 전망하는 것은 아주 중요한 과제”라며 “관련 정보를 지속적으로 생산하는 한편 미래 해수면 변동에 대한 연구도 계속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부산을 비롯한 21개 조위관측소의 33년 연평균 해수면 자료와 분석 정보는 내년 상반기 중 국립해양조사원 누리집(www.khoa.go.kr/oceangrid)에 실린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