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 둔화에 침체된 가전… 삼성·LG, '프리미엄'으로 선방

이한듬 기자 2022. 12. 19. 06: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S리포트 - 아듀! 임인년… 위기에도 빛난 K-산업] ② 수익성 감소에도 글로벌 영향력 건재

[편집자주]임인년(壬寅年) 한 해 글로벌 경제는 유례없는 위기를 맞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여파 속에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원유를 비롯한 주요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며 글로벌 경제가 수렁에 빠졌다. 자원부국들은 보호무역 장벽을 높이며 자원 무기화에 나섰고 특히 미국은 중국 견제를 목표로 동맹이자 우방국인 한국의 산업에도 심각한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정책을 강화했다. 경기 침체와 수요 둔화,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3고(高)' 현상 등 각종 악재가 몰아치면서 한국의 경제는 위태로워졌다. 하지만 한국은 쉽게 무너지지 않았다. 최악의 위기 속에서도 각 산업의 초격차 경쟁력을 바탕으로 눈부신 성과를 발휘했다. 여러 차례 위기를 딛고 일어선 한국만의 '위기극복 DNA'가 또 한 번 저력을 발휘했다. 위기 속에서 빛난 'K-산업'의 활약을 되짚어봤다.

삼성전자 2022년형 네오 QLED 8K 라이프스타일 이미지. / 사진=삼성전자
▶기사 게재 순서
① 글로벌 경기침체 직격탄… 그래도 희망은 K-반도체
② 소비 둔화에 침체된 가전업계… 삼성·LG, '프리미엄'으로 선방
③ 고부가가치 기술 빛난 K-조선… 만성 인력난은 과제
④ 위기와 기회 동시에… 변곡점 선 한국 배터리
⑤ 대규모 적자로 코로나 버텼더니 '횡재세' 웬 말?… 롤러코스터 탄 정유업계
⑥ 'IT 강국'의 저력… 'K-프롭테크' 동남아 노크
⑦ 13년 만에 중동에 'K-건설' 깃발 꽂을까
⑧ "오히려 좋아" 불황에 강한 백화점, 명품 입고 날았다
⑨ 기술수출 줄었지만… K-바이오 신약 개발 저력 나왔다
⑩ K-금융, 사상 최대 실적 업고 디지털금융 '슈퍼앱' 키운다
⑪ 'K-핀테크' 15조 혁신성장펀드 도입… '미래금융' 날개단다

임인년(壬寅年) 한해 가전업계는 불황에 신음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감염병 대유행) 이후 한동안 업계의 실적을 뒷받침했던 펜트업(보복소비) 효과가 사라지면서다. 글로벌 경기침체 심화로 가전이나 정보기술(IT) 제품을 사들이는 수요도 줄어들면서 가전 제조사들의 창고에는 재고가 쌓이고 수익성이 감소하는 상황이 지속됐다.

하지만 국내 대표 가전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종 악재 속에서도 초격차 기술력이 집약된 프리미엄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적을 거두며 'K-가전'의 자존심을 지켰다.


지갑 닫은 소비자… 가전업계 실적 내리막


코로나19 사태로 주요 산업이 큰 타격을 입었지만 가전업계는 무풍지대였다. 실내에서 다양한 경험을 원하는 '홈족'이 증가했고 이 같은 수요가 가전 제품 구매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의 가전부문 매출은 2019년 44조7600억원에서 2020년 48조1700억원으로 7.6% 올랐고 지난해엔 55조8300억원으로 다시 15.9%나 크게 뛰었다. 가전 영업이익 역시 ▲2019년 2조6100억원 ▲2020년 3조5600억원 ▲2021년 3조6500억원 등으로 증가했다. LG전자도 지난해 창사 이래 최고 매출인 74조7216억원을 기록했다. 생활가전 사업을 맡는 H&A사업본부와 TV사업을 맡은 HE사업본부 두 곳의 매출이 44조3283억원으로 전체의 59.3%를 차지한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가전매장 모습. / 사진=뉴스1
올 들어선 상황이 반전됐다. 코로나19 사태가 3년차에 접어들며 펜트업 효과가 희석된 탓이다. 특히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의 급격한 상승, 미국발 금리 인상과 글로벌 인플레이션 등에 따른 고환율·고물가·고금리 등 이른바 '3고(高)' 현상, 경기침체로 인한 소비 둔화가 겹치면서 제품 판매가 줄어들며 실적이 급감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7월 외환위기 이후 최고치인 6.3%로 정점을 찍은 뒤 8월부터 지난달까지 5%대의 고점을 유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으면서 가전업계 실적은 급락했다. 삼성전자의 올 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31.4% 감소한 10조8520억원에 머물렀다. 같은 기간 LG전자의 영업이익은 1년 전(5968억원)보다 25.1% 늘어난 7466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여기엔 제너럴모터스(GM) 전기차 리콜 충당금(약 4800억원) 등이 반영된 점을 감안하면 실제론 영업이익이 27% 감소했다.

소비가 침체되면서 재고는 쌓이고 있다.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재고자산은 57조3198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51.6% 급증했고 같은 기간 LG전자 재고자산도 11조2071억원으로 12% 증가했다. 재고 증가는 재고회전일수 감소로 이어졌다. 재고회전일수는 회전율이 높을수록 재고자산이 빠르게 매출로 이어지는 것을 의미하고 낮을수록 반대를 뜻한다. 삼성전자의 3분기 말 기준 3.8회로 지난해 말 4.5회보다 0.7회 감소했으며 LG전자는 6.5회에서 6.1회로 줄었다.


초격차 기술·품질 앞세워 글로벌 위상 굳건


전반적인 업황 침체 속에서도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세계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뒀다. 전 세계 TV 시장에서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올 3분기 누적 글로벌 TV 시장 규모는 723억9000만달러로 전년동기(829억3000만달러)에 비해 12.7% 감소했다. 소비 둔화로 전체 TV 판매가 줄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한국산 TV는 선두자리를 공고히 하며 압도적인 영향력을 과시했다. 삼성전자는 올 3분기 누계(1~9월)로 금액 기준 30.2%의 점유율을 기록하며 전 세계 TV 시장에서 1위를 수성했다. 프리미엄·초대형 제품을 중심으로 수익성을 방어한 것이 주효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수요 둔화 심화 속에서도 프리미엄·초대형 제품 중심으로 판매를 강화해 리더십을 유지했다"며 "2500달러 이상 프리미엄 시장에서 삼성의 점유율이 51.1%를 기록했고 75형 이상 초대형 시장에서도 37.5%의 점유율을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LG전자도 3분기 17%의 점유율로 세계 2위 자리를 지켰다. LG전자의 주력인 OLED TV 시장만 따로 놓고 보면 점유율이 60%로 압도적인 1위다. LG 올레드TV는 첫 출시된 2013년 이후부터 올 3분기까지 총 누적 출하량이 1400만대를 넘어 연내 1500만대 돌파가 유력하다. 10년 연속 올레드 TV 시장 1위 달성도 확실시된다. 삼성전자와 LG전자를 합한 올 3분기 한국 업체의 누적 금액기준 세계 TV 시장 점유율은 절반에 가까운 47.2%다. 전년동기대비 1.8%포인트 하락했지만 중국(28.2%)과 일본(13.5%)을 크게 앞서는 기록이다.

LG전자는 전 세계 생활가전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LG 오브제컬렉션 등 프리미엄 제품과 소비자에게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신가전이 국내외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기 때문이다. LG전자의 가전사업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의 3분기 누적 매출은 23조5110억원으로 미국 월풀(18조7461억원)과의 격차를 5조원 이상 확대하며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연간 기준으로도 올해 LG전자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가전 시장 왕좌 수성이 확실시된다.

이한듬 기자 mumford@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