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법인세 인하 반대는 기업하기 좋은 나라 거부하는 것

2022. 12. 18. 18:0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여전히 안갯속이다.

다국적기업이 세금을 적게 물리는 지역을 찾아 공장을 세우고 투자를 벌이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지난주 김진표 의장의 1%p 인하 중재안을 받아들이면서도 기존 입장이 바뀐 것은 아니라며 민생을 고려한 결단이라고 했다.

과한 세금으로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린 책임을 당시 집권당인 민주당이 지는 것이 마땅하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야당 법인세 1%p 인하 제시
경쟁국 지원에 비해 태부족
지난 16일 오후 국회 의장실에서 열린 내년도 예산안 협상을 위한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왼쪽)와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원내대표가 악수하고 있다. 가운데는 김진표 의장. /사진=연합뉴스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여전히 안갯속이다. 법정 시한(12월 2일)은 물론이고 정기국회 회기(12월 9일)도 맞추질 못했고, 김진표 국회의장이 제시한 시한(12월 15일)도 물 건너갔다. 성탄절, 연말까지 지금의 대치국면이 계속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전 세계 경제가 비상인 시국에 국익만큼 우선해야 할 것이 없다. 예산안 처리도, 법안 통과도 이 원칙을 지키면 된다. 그런데도 정치권은 시간만 허비하고 있으니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예산안 처리를 가로막는 최대 쟁점이 법인세 때문이라는 점은 더 걱정스러운 대목이다. 한국의 법인세 최고세율이 경쟁국보다 과하다는 지적은 몇 년째 수도 없이 나왔다. 현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8개 회원국 평균이 21.2%다. 우리나라는 이명박 정부 시절 22%이던 것이 문재인 정부 때 3%p 올라 25%가 됐다. OECD 회원국 중 7위다.

국세인 법인세 외에 법인소득에 대해 물리는 지방세까지 합쳐 계산하면 우리나라 법인세 최고세율은 27.5%에 이른다. 삼성전자는 지금 이 세율로 법인세를 내고 있다. 반면 경쟁사인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의 TSMC가 부담하는 법인세율은 20%다. 여기에다 막대한 정부 세제지원을 받고 있다. 삼성전자와 TSMC의 점유율 격차는 지난 3·4분기 더 벌어졌다. 파운드리를 석권해야 시스템반도체 세계 1위로 갈 수 있다. 삼성전자는 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법과 세제로 기업에 전폭적인 지지를 해줘도 모자랄 판에 우리는 모래주머니를 기업 발목에 채워 뛰게 하고 있으니 기가 찰 노릇이다.

과한 세율은 외국 기업의 국내 유치도 막는다. 다국적기업이 세금을 적게 물리는 지역을 찾아 공장을 세우고 투자를 벌이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국내 외국인투자가 계속 후퇴하는 것도 가볍게 볼 일이 아니다. 이런 폐해를 바로잡기 위해 나온 것이 최고세율을 22%로 낮춘 정부 세법 개정안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법인세를 인하하면 일자리, 투자, 성장에 뚜렷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서까지 냈다. 장기침체 고난의 시간을 앞에 둔 마당에 이를 거부하는 것은 무책임의 극치가 아닐 수 없다.

야당은 초부자 감세, 재벌 특혜라는 낡은 구호로 법인세 인하를 줄곧 반대했다. 지난주 김진표 의장의 1%p 인하 중재안을 받아들이면서도 기존 입장이 바뀐 것은 아니라며 민생을 고려한 결단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여당의 즉각적인 수용을 촉구했다. 결국엔 예산안 지연 책임을 여당에 떠넘기겠다는 계산으로밖에 안 보인다. 여당이 주장한 대로 1%p 인하로는 어림도 없다. 과한 세금으로 기업 경쟁력을 떨어뜨린 책임을 당시 집권당인 민주당이 지는 것이 마땅하다. 양질의 일자리가 없어 실업 상태인 청년들이 급증하고 있다. 지금은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강구해 기업 활력을 높여야 하는 시기라고 본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