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대기권] ‘주 69시간 허용’ 저녁 없는 삶?
[앵커]
매주 이 시간 선보이는 코너입니다.
저희가 새롭게 만든 '박대기 기자의 경제 대기권'.
경제 소식을 알기 쉽게, 다각도로 짚어보는 순서입니다.
오늘은,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이른바 노동개편안, 물론 찬반 논란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오늘은 특히 노동시간 문제를 중심으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박대기 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오십시오.
'경제 대기권'은 박대기 기자 이름에 따온 건가요.
[기자]
그런 면도 있고, 대기권이 우리를 감싸는 것처럼 경제가 삶에서 중요하다는 뜻도 있습니다.
[앵커]
오늘(17일) 정부가 추진하는 노동시간 개편안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해본다고요.
어떤 얘기부터 할까요.
[기자]
네. 첫번째 키워드, '저녁 없는 삶?'입니다.
권고안 기준으로 최대로 일할 경우, 시간표를 짜봤습니다.
아침 9시 출근해서 밤 10시까지 월화수목금토 주6일 일할 수 있습니다.
식사는 빼니까 딱 69시간입니다.
9시 출근하려면 8시에는 집에서 나와야죠?
밤 10시에 일이 끝나면 집에 가면 11시겠죠?
이걸 허용하겠다는 권고안인데, '저녁 없는 삶'이 되겠죠.
[앵커]
물론 최대로 했을 때 그렇다는 거고, 그렇게 많이 일하면 다른 주에는 많이 쉬자, 이런 얘기죠.
[기자]
그렇습니다.
지금은 1주일 단위로 따지는데 이걸 월이나 분기 평균으로 따져보자는 것입니다.
예컨대 한 달 평균 주 52시간 이내는 맞춰준다는 겁니다.
바쁠때는 많이 일하고 나중에 휴가 가라는 취지입니다.
다만, 우리나라 문화에서 나중에 휴가 갈수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앵커]
일은 일대로 하고, 쉴 때는 또 눈치가 보이거나 이런저런 잔업이 있을 수 있다, 그런 얘긴가요.
그런데 이게 권고안이에요.
정부에 권고한다는 거잖아요.
정부는 그 권고를 받아서 추진한다는 거고요.
누가 권고한 겁니까.
[기자]
바로 두번째 키워드입니다.
'모두 교수님들?'입니다.
이 안은 '미래노동시장 연구회'라는 곳이 정부에 낸 권고안입니다.
연구회의 12명 모두 정부가 임명한 대학 교수들입니다.
실제 일할 노동자는 빠졌습니다.
물론 중립적인 연구를 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노동자들은 근로시간 줄이자고 하고, 중소기업 사장들은 일감 들어올 때 일해야 한다며 대립 중입니다.
연구회는 앞으로 의견수렴을 하면 된다는데, 정부는 신속하게 추진하겠다고 해서 과연 의견수렴이 될지 의문입니다.
[앵커]
그 미래노동시장연구회가 낸 권고안을 박 기자가 자세히 들여다봤죠.
좀 의아한 대목이 있었다고요.
[기자]
세번째 키워드를 이렇게 정해봤습니다.
'블라인드에서 조사?'입니다.
회사에 오래 다니면 월급이 오르는 걸 '연공제'라고 하는데, 연구회가 개혁하자고 했는데요.
근거로, 노동자 대부분이 '공정하지 않다'고 답했다고 적었습니다.
그런데 이 조사를 어디에서 했냐면, '블라인드'라는 직장인 익명 게시판에서 했습니다.
익명게시판을 근거로 정부 권고안을 만드는게 맞나 하는 지적이 나옵니다.
물론 노동시간 등에 대해서는 연구회가 제대로 설문 조사를 했는데, 결과가 '노동시간 줄이자'가 많았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뭐랄까요.
조사가 좀 더 면밀하고 공식적인 형태였어야 했다, 그런 이야기겠네요.
[기자]
말이 나온 김에 블라인드에서 인기를 얻은 글을 소개하겠습니다.
52시간도 힘든데 웃음만 나온다는 의견부터 과연 휴가 챙겨주나 의심까지.
반면에, 어차피 초과근무 시킬 텐데 돈이라도 받게 되니 다행이라는 냉소적인 글도 있습니다.
주 30시간도 가능하다면서, 정부를 옹호하는 글도 보입니다.
[앵커]
고민들이 묻어나는군요.
정부는 주 69시간 노동에 대해 반발 목소리가 나오니까, 그렇게 말하는 거 같더군요.
일방적으로 하지 못한다, 노사 합의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말이죠.
이건 어떻게 봐야 합니까.
[기자]
노조가 강한 대기업은 그럴 수 있겠지만, 노조 조직률이 3% 이하인 100인 이하 중소기업 노동자들이 과연 제 목소리를 낼까 의문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노동계에선 여전히 우리나라 노동시간이 다른 선진국보다 더 길다는 걸 강조하지 않습니까.
사실 확인을 해보면 어떻습니까.
[기자]
우리 노동시간, 선진국의 '45년 전 수준?'입니다.
우리 나라 노동시간은 OECD 38개국 중 5번째로 길어서, 평균보다 200시간 더 일합니다.
우리와 비슷한 것은 표 제일 오른 쪽, 1977년도의 OECD 평균입니다.
우리는 아직도 선진국의 45년 전 수준이라는 거죠.
권고안 중에 있는 정규직 비정규직 격차를 줄이자는 내용은, 공감하는 분들 많을 거고, 지나치게 경직된 규제도 바꿔야겠죠.
박대기 기자 (waiting@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제보] 필리핀 어학 연수 중 ‘아동 성추행’…“다들 나 몰라라에 분통”
- 아르헨 vs 프랑스 월드컵 결승전, 유럽과 남미 제대로 만났다
- 野 ‘尹 이태원 추모 행사 불참’ 비판…대통령실 “거듭 명복 빌어”
- 우크라에 또 대규모 공습…푸틴, 벨라루스 참전 논의?
- [경제대기권] ‘주 69시간 허용’ 저녁 없는 삶?
- 관광버스 승용차 추돌 뒤 넘어져…곳곳 빙판길 사고 잇따라
- 겨울 밤하늘 수놓은 부산 불꽃 축제…3년 만에 개최
- 석유 대신 옥수수·대장균으로 플라스틱 만든다
- [주말&문화] 잡스부터 히치콕까지…한쪽 눈만으로 포착한 ‘인생 사진’
- 결승 코 앞에 둔 프랑스…‘감기’ 바이러스로 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