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갯벌 간척으로 도요새가 떠나고 그자리에 기러기가 왔다"

홍준석 2022. 12. 15. 22:4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갯벌 간척으로 농경지가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를 찾는 도요나 물새떼가 사라지고 오리나 기러기류는 증가했다."

그는 "지난 15년 동안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오리·기러기류는 60% 정도 증가했다"며 "이는 자연습지가 훼손되고 농경지가 늘어난 결과"라고 말했다.

최 교수에 따르면 반면 간척 농경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줄어든 갯벌을 터전 삼아 살아가는 도요·물떼새류는 감소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창용 교수 지적…"새도 적응하지만 변화 너무 빨라"
크기와 상관없이 어울리는 도요새 (강릉=연합뉴스) 유형재 기자 = 8일 강원 강릉지역의 한 하천에서 몸집이 큰 국제보호조 알락꼬리마도요와 큰뒷부리도요, 작은 크기의 붉은어깨도요 등이 어울려 한가롭게 먹이활동을 하고 있다. 2022.4.8 yoo21@yna.co.kr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갯벌 간척으로 농경지가 늘어나면서 우리나라를 찾는 도요나 물새떼가 사라지고 오리나 기러기류는 증가했다."

15일 세계자연기금(WWF) 한국본부 주최로 열린 토크콘서트에 강연자로 나선 최창용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가 들려준 분석이다.

그는 "지난 15년 동안 우리나라에 도래하는 오리·기러기류는 60% 정도 증가했다"며 "이는 자연습지가 훼손되고 농경지가 늘어난 결과"라고 말했다.

더 많은 양질의 농작물이 만들어지면서 떨어진 낱알을 주로 먹는 오리·기러기류가 혜택을 입었다는 설명이다.

최 교수에 따르면 반면 간척 농경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줄어든 갯벌을 터전 삼아 살아가는 도요·물떼새류는 감소했다. 대표적인 예가 큰뒷부리도요다.

큰뒷부리도요는 환경부가 지난 9일 공포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 개정안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신규 지정되기도 했다. 자연·인위적 위협을 제거하거나 완화하지 않으면 근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우려가 있다는 뜻이다.

태안 안면도 기러기떼 [연합뉴스 자료사진]

최 교수는 "새도 (변화한 환경에) 적응을 하지만 문제는 지나치게 빠르게 갯벌을 간척했다는 데에 있다"면서 "한국 갯벌에서 사라진 큰뒷부리도요는 터전을 옮긴 게 아니라 죽은 것이라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큰뒷부리도요는 뉴질랜드와 알래스카를 오가는 장거리 이동 철새인데, 한국 서해 갯벌이나 압록강 하구 등지에서 휴식을 취하며 에너지를 보충한다.

그런데 중간기착지가 없어져 버리면 최종 목적지까지 날아갈 힘을 채울 수 없고, 따라서 죽음을 맞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최 교수는 "지구 둘레의 40%를 한 번에 이동하는 큰뒷부리도요는 뉴질랜드·태평양·한국 갯벌·알래스카에서 일어나는 기후변화를 모두 극복해야 살아남을 수 있다"며 "철새 보호를 위해서는 여러 국가가 함께 행동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립공원공단 임승효 수의사(가운데)와 최창용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오른쪽) (서울=연합뉴스) 홍준석 기자 = 15일 세계자연기금(WWF) 한국본부 주최로 열린 토크콘서트 '판다토크'에 강연자로 나선 국립공원공단 야생동물의료센터 임승효 수의사와 최창용 서울대 산림과학부 교수가 질의응답을 진행 중이다. 2022.12.15

honk0216@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