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에 뿔뿔이 흩어졌나…순천만 흑두루미 3000마리 실종 미스터리

김기범 기자 2022. 12. 12. 15: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본서 폐사한 개체 수 1164마리 달해
국내서도 최소 90마리 이상 폐사 보고
한국 찾은 개체수 절반이상 행적 묘연
생태계 균형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 커져
전남 순천만 갈대밭에 지난 13일 흑두루미들이 무리 지어 서 있다. 순천시 제공

피난 온 멸종위기 흑두루미 3000여마리는 어디로 간 것일까.

조류인플루엔자(AI)로 세계 곳곳에서 가금농장의 닭, 오리 등은 물론 다양한 야생조류도 폐사하면서 생태계 균형이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는 겨울철 철새이자 멸종위기종인 흑두루미 개체 수가 이번 AI 창궐로 한꺼번에 7%가량이 줄었다.

12일 국내 조류 전문가, 국립생태원, 외신 보도 등을 종합하면 AI로 인해 일본에서 폐사한 흑두루미 개체 수는 지난 8일 기준 1164마리로 집계됐다. 국내에서는 전남 순천, 경남 김해, 창녕 등에서 90마리 이상의 흑두루미가 폐사했다. 전 세계 흑두루미 약 1만8000여마리의 7%가량이 죽은 셈이다. 과거 최다 기록이었던 2020년(125마리)의 10배 가까운 흑두루미가 폐사하면서 전 세계 흑두루미 개체군 유지에도 빨간불이 들어왔다. 천연기념물 228호인 흑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북동부 등에서 남하해 한국, 일본에서 월동하는 철새다.

흑두루미 서식지.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누리집 갈무리.

폐사와 함께 우려를 키우는 것은 국내로 건너온 흑두루미 중 상당수의 행적이 묘연하다는 점이다. 순천만에서는 지난달 21일 9841마리, 22일 7600여마리가 관찰됐는데 현재는 3500마리가량만 확인됐다. 남해안인 하동 갈사만에서도 500마리 미만만 관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일본으로 다시 남하한 일부 개체를 제외하면 약 3000마리 정도가 국내 곳곳에 흩어진 것으로 보고 있다.


☞ ‘만학의 도시’ 눈앞에 둔 순천, 급증한 흑두루미 반기지 못하는 까닭은
     https://www.khan.co.kr/environment/environment-general/article/202211231545001

행방불명 상태인 이 흑두루미들이 어디서 자고, 먹이활동을 하는지 추적하는 것은 추가적인 AI 전파를 막기 위해 중요하다. 하지만 환경부는 매년하는 조류동시센서스를 최근 실시한 것 외에는 손을 놓고 있다.

전남 순천시 순천만습지를 찾은 멸종 위기종인 흑두루미들이 들판에서 먹이를 찾고 있다. 순천시는 현재 매주 10t의 먹이를 제공하고 있다. 순천시 제공.

전문가들은 흑두루미들이 AI를 전파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적절한 양의 먹이를 넓은 지역에 살포해 이들을 잡아둬야 한다고 주장한다. 순천만에서는 지난 4일부터 이 같은 방식의 먹이주기를 실시하고 있지만 다른 지자체들은 AI로 인해 먹이주기를 중단했다. 철원, 천수만 등에서만 일부 민간단체가 먹이를 제공하고 있다.


☞ 일본서 피난 온 흑두루미 1만 마리를 지켜라…순천만 들판에 볍씨 100t 뿌린다
     https://www.khan.co.kr/local/Jeonnam/article/202212041559001

조류 전문가인 이기섭 박사(한국물새네트워크 대표)는 “먹이주기에는 먹이를 찾아 분산될 수 있는 새들을 (일정한 공간에) 잡아두는 의미도 있다”며 “먹이가 부족해지면 AI뿐 아니라 굶주림 등의 다른 요인으로 인한 질병에 걸리는 개체도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흑두루미들끼리 접촉하는 것을 줄이기 위해 먹이를 넓게 살포하는 방식으로 주면 감염 위험성이 적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경남 고성의 한 밭에서 사람들이 뿌려놓은 먹이를 먹고 있는 멸종위기 조류 독수리. 김덕성 독수리자연학교 교장 제공.

전문가들은 겨울철마다 국내를 찾는 멸종위기 철새 독수리에서는 고병원성AI 감염 폐사 사례가 나오지 않는 것을 불행 중 다행으로 여기고 있다. 다른 맹금류와 달리 동물의 사체만 먹는 독수리는 대량 감염사태가 발생하면 개체 수가 급감할 위험이 있다.

천연기념물 제243-1호인 독수리는 ‘하늘의 제왕’이라는 통념과 달리 사냥을 전혀 하지 않는다. 초원의 청소부라 불리는 하이에나처럼 청소동물(scavenger)로 분류되는 조류다. 독수리 먹이주기를 실시하는 경남 고성이나 강원 철원 등에서는 사람들이 밭에 뿌려놓은 먹이에 접근하던 독수리들이 여러 마리의 까치에게 쫓겨나는 모습도 흔히 볼 수 있다.

멸종위기 조류 독수리. 김덕성 독수리자연학교 교장 제공.

국내에서는 독수리 감염사례가 나오지 않았지만 고병원성 AI에 걸린 다른 조류 사체를 먹고 감염된 독수리들 사례가 해외에서는 이미 확인됐다. 미국조지아주에서는 지난 8월 적어도 700여마리의 검은대머리독수리(Black Vulture)가 폐사했다.

전문가들은 국내 독수리의 경우 사체를 먹는 특성에 맞춰 위가 발달하면서 바이러스에 강한 특성을 갖고 있고, 먹이를 삭혔다가 천천히 소화하는 습성 등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백운기 국립대구과학관장이 2014년 발표했던 연구결과에 따르면 유전체(게놈, genome) 분석 결과 독수리는 위산의 분비·면역과 관련된 유전자가 특이하게 변화하면서 썩은 고기를 먹어도, 병원체에 감염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 관장은 “독수리라고 해서 AI에 전혀 감염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AI가 상시 발생하는 몽골에 서식하는 독수리가 저항성이 강한 데다 국내의 경우 사체 수거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어 피해가 적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멸종위기 조류 독수리에게 매년 겨울 먹이를 제공하는 경남 고성 ‘독수리식당’의 간판. 김덕성 독수리자연학교 교장 제공.

올해 유행 중인 고병원성 AI 피해는 특히 바닷새에서 많이 관찰되고 있다. 지난 5일 페루 해안에서는 펠리칸, 부비새, 구아나흰배쇠가마우지 등 바닷새 2만2000마리가 폐사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일본에서는 감소 추세이기는 하지만 흑두루미뿐 아니라 재두루미 61마리와 사체를 먹는 새들인 큰부리까마귀, 솔개, 흰꼬리수리, 말똥가리 등 모두 1227마리가 폐사했다. 홍콩에서는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저어새 폐사가 확인됐다.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9일 현재 국내에서 확인된 야생조류의 감염 건수는 총 96건이다. 이 가운데 고병원성은 76건, 저병원성은 4건, 검사 중은 16건이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