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속 320㎞로 날아와 먹이 낚아챈다…전통 매사냥 현장

TJB 양정진 2022. 12. 12. 08: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매사냥의 전통을 잇기 위해 공개 시연회가 열렸습니다.

매사냥은 매나 맹금을 길들여 야생에 있는 사냥감을 잡는 전통 사냥입니다.

[박용순/매사냥 기능 보유자 : 매사냥은 항상 불확실성 속의 가능성이 묘미거든요. 매사냥 훈련에 왕도는 없어요. 정성을 다해서 매를 진심으로 대하면 통합니다.]

지난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매사냥이지만, 지금 그 명맥을 잇고 있는 기능 보유자는 대전과 진안에 단 2명뿐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매사냥의 전통을 잇기 위해 공개 시연회가 열렸습니다.

KTX보다 빠르게 날아와 먹잇감을 낚아채는 매사냥 현장을, TJB 양정진 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기자>

부리부리한 눈과 날카로운 발톱을 가진 매.

매를 부리는 응사가 신호를 보내자 쏜살같이 날아올라 단 3초 만에 꿩을 낚아챕니다.

매는 사냥감을 공격할 때 최고 시속 320km로 날아 300km로 달리는 KTX보다 빠릅니다.

[유현미/대전 문화동 : 직접 와서 보니까 너무 신기하고, 애들도 너무 좋아하고요. 날아다니는 속도도 생각보다 너무 빠르고….]

매사냥은 매나 맹금을 길들여 야생에 있는 사냥감을 잡는 전통 사냥입니다.

고구려 벽화에도 그림이 남아 있을 만큼 우리나라 매사냥은 4000년의 역사를 자랑합니다.

지금 제 손에 있는 이 매는 2년 동안 길들인 참매입니다.

지금은 이렇게 온순하지만, 응사의 신호를 받으면 사냥꾼으로 변신합니다.

짧은 거리부터 점점 거리를 넓혀 먼 거리에 있는 먹이를 포획하는 훈련까지, 오랜 기간 길들이며 매와 사람이 마음을 나눠야 사냥이 가능해집니다.

[박용순/매사냥 기능 보유자 : 매사냥은 항상 불확실성 속의 가능성이 묘미거든요. 매사냥 훈련에 왕도는 없어요. 정성을 다해서 매를 진심으로 대하면 통합니다.]

지난 2010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매사냥이지만, 지금 그 명맥을 잇고 있는 기능 보유자는 대전과 진안에 단 2명뿐입니다.

왕부터 양반, 서민들까지 연말에 즐겼던 취미활동인 매사냥, 많은 시민들이 사라져가는 전통문화를 체험하며 소중한 경험을 할 수 있었습니다.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