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생활 중 원치않는 구애 받아"...직장인 10명 중 1명꼴

김광태 2022. 12. 11. 18: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직장인 10명 중 한 명꼴로 회사생활을 하는 와중에 원치 않는 상대방한테서 구애를 지속해서 받은 경험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1일 직장갑질119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14일∼21일 전국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11.0%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원치 않는 상대방에게 계속 구애를 받았다고 답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응답자 72% "상사와 후임 간 연애 금지 사규 찬성"
직장인 괴롭힘. [연합뉴스]

직장인 10명 중 한 명꼴로 회사생활을 하는 와중에 원치 않는 상대방한테서 구애를 지속해서 받은 경험이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11일 직장갑질119에 따르면 여론조사 전문기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지난달 14일∼21일 전국 직장인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11.0%는 직장생활을 하면서 원치 않는 상대방에게 계속 구애를 받았다고 답했다. 여성(14.9%)이 남성(8.1%)보다, 비정규직(13.8%)이 정규직(9.2%)보다 원치 않은 구애를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원치 않는 구애 사례를 보면 점심시간마다 밥 먹기 강요하고 다른 직원과 밥을 먹으면 질투가 난다고 하거나, 사적인 만남을 거절하자 폭언한 사례 등이 있었다.

상급자와 직속 후임 간의 사내 연애를 아예 금지하는 사규를 만들 필요가 있다는 응답률은 전체의 72.0%로 집계됐다. '매우 동의한다'가 28.3%, '동의하는 편이다'가 43.7%였다. '동의하지 않는 편'은 24.3%, '전혀 동의하지 않는다'는 3.7%였다.

직장 내 성희롱 경험 사례(응답자 290명) 중에선 행위자가 상급자인 경우가 45.9%로 거의 절반에 가까웠다. 이어 대표·임원 등 사용자 21.4%, 비슷한 직급인 동료 18.6% 순이었다.

성추행·성폭행 경험 사례(173명)에서 행위자는 상급자가 44.5%로 가장 많았고 동료 22.0%, 사용자 19.7% 등이 뒤를 이었다.

회사가 직장 내 성범죄로부터 피해자를 적절히 보호하고 있는지에 대해선 전체 응답자(1천 명)의 51.5%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그렇다'는 48.5%였다.

이번 설문조사의 신뢰 수준은 95%, 표본오차는 ±3.1%포인트다.

직장갑질119 강은희 변호사는 "직장 내 성범죄를 신고한 경우 피해자가 상급자의 보복으로 인해 업무에서 배제되거나 인사에서 불이익을 받는 등의 2차 피해를 겪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강 변호사는 "감독·평가 권한을 가진 상사와 후임 간 연애를 금지하거나 이를 보고할 의무를 상사에게 부여하는 것은 상사와 후임이 평등할 수 없다는 걸 인지한 채로 일할 책임을 요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