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구가 준비한 연말선물, 발레 ‘호두까기 인형’

손봉석 기자 2022. 12. 11. 16: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마포문화재단 제공



12월에 전 세계 무대에서 공연되는 스테디셀러, 발레 ‘호두까기 인형’이 오는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마포아트센터에서 펼쳐진다.

호두까기 인형은 우아하고 화려한 춤, 크리스마스 분위기를 더하는 음악과 환상적인 무대로 남녀노소 모두의 사랑을 받는 발레 공연이다.

코로나19로 3년 만에 다시 돌아온 마포문화재단의 호두까기 인형은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의 원작을 와이즈발레단의 김수연 부단장이 총연출, 홍성욱 예술감독이 재안무했다. 특히 프티파 안무의 원형은 유지한 채 브레이크 댄스, 팝핑, 비보잉 등 스트릿 댄스를 강화하여 볼거리를 더했다.

호두까기 인형은 19세기 러시아 발레의 중심지였던 상트페테르부르크 마린스키 극장에서 1892년 초연된 이후 130년이 지난 현재까지 전 세계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발레 명작이다. 독일 낭만파 작가 E.T.A 호프만이 지은 동화 ‘호두까기 인형과 생쥐왕’을 프랑스 대문호 알렉상드르 뒤마가 각색하고 러시아 고전 발레의 아버지로 불리는 안무가 마리우스 프티파가 발레 대본으로 만들었다. 이에 작곡가 차이콥스키의 음악을 입혀 탄생한 작품으로 차이콥스키 특유의 아름답고 낭만적인 선율과 러시아 고전 발레의 정교한 세련미를 감상할 수 있는 대표적인 발레 입문작이기도 하다.

마포문화재단 제공



마포문화재단과 와이즈발레단이 함께 준비한 ‘호두까기 인형’의 가장 큰 특별함은 발레에 가미한 스트릿 댄스로 자칫 지루할 수 있는 장면들에 재미를 더했다. 생쥐로 변신한 비보이 댄서와 호두까기 왕자의 다이내믹한 춤 배틀은 가장 뜨거운 호응을 받는 장면 중 하나이다.

발레리나와 스트릿 댄서들이 선보이는 2막의 중국춤도 와이즈발레단의 호두까기 인형에서만 볼 수 있는 특별한 연출로 기대를 더한다. 클라라의 크리스마스 파티에 초대된 마법사 드로셀마이어의 마술로 할리퀸, 콜롬바인, 팬더 등 인형들이 살아 움직이며 시작된 공연은 고난도의 테크닉의 군무와 세계 각국 과자 인형들의 춤 퍼레이드로 쉴 틈 없는 재미를 선사할 예정이다.

12월 16일부터 18일까지 5회차에 걸쳐 관객들을 만날 이번 공연은 1회차 김민영‧박종희, 2회차 윤해지‧백무라토브 살라맛(Bekmuratov Salamat), 3회차 김민영‧윤별, 4회차 강윤정‧멘드바야르 남스라이(Mendbayar Namsrai), 5회차 김유진‧백인규 캐스팅으로 각기 다른 매력을 가진 주역들이 펼치는 호두까기 인형을 만날 수 있다. 비보잉에는 국내 최정상 비보이 크루 올마이티 후즈가 출연한다. 공연은 48개월 이상 관람가로 자세한 정보 확인 및 예매는 마포문화재단 홈페이지에서 가능하다.

와이즈발레단은 춤으로 소통하고, 춤의 즐거움을 나누며 모두가 예술로 풍요로운 삶이 되기를 꿈꾸는 민간 전문예술단체다. 클래식 발레부터 Art Collaboration까지 다양한 공연예술 표현을 목적으로 2005년 창단되어 연간 100여회의 국내외 공연활동을 하고 있다.

마포문화재단 제공



2017년 제49회 대한민국문화예술상(대통령상), 2018년 예술경영지원센터 대표상, 2022년 제9회 이데일리 문화대상 무용부문 최우수상과 대상을 수상하며 그 예술성을 인정받은 바 있으며, 발레STP협동조합원, 중국 광저우발레단, 몽골 국립오페라발레단 MOU단체로 예술의 즐거움을 전하는 단체이다.

다양한 춤과 문화가 만나는 융복합 작업은 단체 특유의 차별성을 갖는 활동으로 유쾌한 감동을 전하고 춤으로 소통하며, 공연예술의 대중화를 이루고자 한다. 또한, 클래식 발레와 창작 작품활동을 통해 발레의 순수한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예술적 가치를 지켜 나가고 있다. 주요 레퍼토리는 클래식 발레 ‘지젤’, ‘호두까기 인형’을 비롯하여 창작발레 ‘VITA, 댄스컬 ’외계에서 온 발레리노‘와 동화발레 ’헨젤과 그레텔’, ‘신데렐라’ 등 다수 작품이 있다.

마포문화재단 제공



손봉석 기자 paulsohn@kyunghyang.com

Copyright © 스포츠경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