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

양새롬 기자 2022. 12. 11. 10:3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국 대학교수들이 올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0.9%(476명)가 '과이불개'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았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를 선택한 교수들의 선정 이유는 각양각색이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잘못'과 같은 답변이 많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교수 935명 설문…"이태원 참사 아무도 책임 안 져"
2위는 '욕개미창'…"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
교수신문 선정 올해의 사자성어. '과이불개'. (교수신문 제공)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전국 대학교수들이 올해를 정리하는 사자성어로 '잘못을 하고도 고치지 않는다'는 뜻의 '과이불개'(過而不改)를 꼽았다.

교수신문은 지난달 23일부터 30일까지 교수 93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0.9%(476명)가 '과이불개'를 올해의 사자성어로 뽑았다고 11일 밝혔다.

'과이불개'는 '논어'의 '위령공편'에 처음 등장한다. 공자는 '과이불개 시위과의(過而不改 是謂過矣)', 즉 "잘못하고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을 잘못이라 한다"라고 했다.

이를 추천한 박현모 여주대 교수(세종리더십연구소장)는 "우리나라 여당이나 야당할 것 없이 잘못이 드러나면 '이전 정부는 더 잘못했다' 혹은 '대통령 탓'이라고 말하고 고칠 생각을 않는다. 그러는 가운데 이태원 참사와 같은 후진국형 사고가 발생해도 책임지려는 정치가가 나오지 않고 있다"라고 추천 이유를 말했다.

과이불개를 선택한 교수들의 선정 이유는 각양각색이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잘못'과 같은 답변이 많았다.

한국정치의 후진성과 소인배의 정치를 비판한 "현재 여야 정치권의 행태는 민생은 없고, 당리당략에 빠져서 나라의 미래 발전보다 정쟁만 앞세운다(40대·사회)"나 "여당이 야당되었을 때 야당이 여당 되었을 때 똑같다(60대·예체능)"라는 등의 의견이 주를 이뤘다.

특히 교수사회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한 60대 인문학 교수는 "논문 표절 문제가 불거지면 논문 제출자만 탓할 뿐 지도교수와 심사위원에 대해서는 아무 책임을 묻지 않는다"라고 비판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추천된 '욕개미창(欲蓋彌彰·덮으려고 하면 더욱 드러난다)'이 14.7%(137표)를 얻어 2위에 올랐다. 욕개미창을 추천한 남기탁 강원대 국어국문학과 명예교수(한국어문회 이사장)는 추천이유에 대해 "우리 대학의 연구 윤리가 보다 엄격하고 공정하게 적용되기를 바라는 심정"이라고 밝혔다.

욕개미창에 투표한 한 40대 사회계열 교수는 "교육자로서 박사 논문 표절에 대한 대학의 대응 방안은 부끄럽다. 논문뿐만 아니라 이태원 참사를 진상 조사도 안하고 묻어버리려고 하는 것처럼 보여 이 사자성어는 두 가지 모두 해당된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뒤이어 △'누란지위(累卵之危·여러 알을 쌓아놓은 듯한 위태로움)' 13.8%(129표) △문과수비(文過遂非·과오를 그럴듯하게 꾸며대고 잘못된 행위에 순응한다) 13.3%(124표) △군맹무상(群盲撫象·눈먼 사람들이 코끼리를 더듬으며 말하다) 7.4%(69표) 순으로 추천됐다.

flyhighrom@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