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훈 구속 기소에…‘서해 피격’ 이래진씨 “당신네들 가족 일이라도 ‘망언’ 해댈까”

권준영 2022. 12. 10. 21:2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일부 야당 의원들, ‘달라진 것도 없는데’라는 기막힌 말들 쏟아내” 직격
“앞으로 갈 길이 멀지만 하나하나 재판을 통하여 진실이 밝혀질 듯하다”
“수색하는 과정서 목격했고 들었던 내용들까지도 거짓말…어찌 용서가 될 건가”
“어떤 자식들이 그 따위 지시를 했는지, 왜 무엇 때문에 그렇게 지시했는지 밝혀내야”
“이걸 못하게 막는다면 그것이야 말로 국민 억압이자 탄압”
서훈(왼쪽)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과 이래진씨. <연합뉴스>
검찰 로고. <연합뉴스>

'서해 공무원 피살 진상 은폐 사건'을 수사 중인 검찰이 문재인 정부 안보 라인 최고 책임자였던 서훈 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직권남용 및 허위공문서 작성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했다. 김홍희 전 해양경찰청장은 불구속기소했다.

이를 두고 북한군에 피살당한 해양수산부(이하 해수부) 소속 공무원 고(故) 이대준씨 형 이래진씨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일부 야당 의원들은 '달라진 것도 없는데'라는 기막힌 말들을 쏟아내며 정치탄압이라 망언을 해댄다"면서 "다시 묻는다. 당신네들 가족 일이라도 그렇게 떠들지 모르겠다"고 날카롭게 대립각을 세웠다.

이래진씨는 10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금일 오후 검찰에서 전격적으로 김홍희 전 해경청장 불구속기소 서훈 전 안보실장의 구속기소했다"며 "앞으로 갈 길이 멀지만 하나하나 재판을 통하여 진실이 밝혀질 듯하다. 늦은 감이 있지만 이들의 범죄에 대한 내용들이 하나하나 들어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씨는 "다른 사람도 아니고 제가 직접 현장에서 수색하는 과정에서 목격했고 들었던 내용들까지도 은폐하고 거짓말하는데 어찌 용서가 될 것인가"라며 "이렇게 상황과 전문성으로 알아도 아니라고 우기는데 일반 사람들은 어떻겠나"라고 울분을 토했다.

이어 "분명히 알아야 한다. 어떤 자식들이 그 따위 지시를 했는지 왜 무엇 때문에 그렇게 지시했는지 밝혀내야 한다. 그게 정치탄압인가"라며 "못하게 막는다면 그것이야 말로 국민 억압이자 탄압일 것"이라고 직격했다.

그러면서 "말을 바꾸어 정치탄압이라 참 쉽게 말씀들 하신다. 말을 바꾸면 거대 야당이 국민 한사람이라 무시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다"며 "누구한테는 꺾어버렸다 했지요? 그럼 저는 뭔가. 저는 꺾여도 된다는 말이고 니들은 꺾이면 큰일 난다는 말인데 앞뒤가 맞는 말씀을 하셔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이씨는 "정치탄압이라고 하면 다 끝나는 모양"이라면서 "하지만 당시 무슨 일들이 있었고 무엇을 했는지 앞으로 국정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진실규명은 필요하다. 두 번 다시 이런 일들이 그렇게 말 잘하는 민주주의 국가에서 일어나면 안 될 일들 아니겠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저는 아직까지도 못한 말들이 있지만 참고 있다. 오늘의 기소 내용을 보면 당사자인 저는 심정이 어떻겠나"라며 "참담하기도 하고 분노스럽지만 냉정을 잃지 않을 것이며 차분하게 응대할 것이다. 잘못된 정보를 얻어서 그렇게 떠들었으면 석고대죄가 먼저"라고 주장했다.

끝으로 이씨는 "그렇다고 용서는 없다. 국민들에게 미안한 마음은 가지라는 것이다. 입법기관이라고 그렇게 당당히 말씀들 해놓고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한다"면서 "정치는 몽니로 하는 게 아니다. 그리고 자꾸 정치탄압이라 함부로 말씀도 하시면 안 된다. 뒤집어 말하면 국민억압 탄압"이라고 덧붙였다.

검찰에 따르면, 서훈 전 실장은 2020년 9월 23일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이던 고(故) 이대준씨가 북한군에 의해 피격되고 시신이 소각된 사실을 숨기기 위해 합참 및 해경 관계자들에게 사건 은폐를 위한 보안유지 조치를 하라고 지시했다.

서 전 실장은 이를 위해 사건 당일 해경으로 하여금 실종 상태에서 수색중인 것처럼 허위 보도자료를 배포하게 하고(직권남용), 그해 9~10월 월북 조작을 위해 국방부와 해경으로 하여금 허위 보고서 및 발표자료를 배부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이 시기에 정부 차원의 단일한 대응을 위해 국가안보실에서 '자진 월북'으로 정리한 허위 자료를 작성해 재외 공관 및 관련 부처에 배부한 혐의도 받는다.

검찰은 김홍희 전 해양경찰청장도 불구속 기소했다. 김 전 청장은 이대준씨 살해 후에도 실종 상황에서 수색 중인 것처럼 허위 보도자료를 배포하고 이후에도 허위 보고서 및 발표자료를 배부해 유족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를 받았다.

검찰은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의 관련 자료 삭제 혐의에 대해서는 계속 수사 중이며, 서 전 실장 또한 관련 혐의에 대해서는 기소 후에도 수사를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서 전 실장 측은 "검찰의 전격기소는 적부심 석방을 우려한 당당하지 못한 처사"라며 공범으로 적시된 서욱 전 국방부 장관은 기소에서 제외됐고 박지원 전 국정원장은 조사조차 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정이 이뤄진 것도 이해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권준영기자 kjykjy@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