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다 작가 "일상툰과 스토리만화, 느낌 달라도 둘 다 매력있어"

김경윤 2022. 12. 10. 07:1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첫 장편 스토리만화로 취미 소재로 한 '도토리 문화센터' 그려
주요 등장인물 모두 중장년층…"뻔한 이미지 대신 색다르게 표현"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음악으로 비유하자면 일상 만화는 포크송처럼 기타 하나 들고 연주하는 느낌이고, 스토리 만화는 오케스트라 합주와 비슷해요. 느낌은 다르지만 둘 다 매력 있어요."

웹툰 작가 난다는 지난 7일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그간 그려왔던 일상 만화와 이번에 펴낸 스토리 만화의 차이점을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난다는 카카오웹툰에서 일상툰(일상 만화·작가의 일상을 소재로 한 웹툰) '어쿠스틱 라이프'를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장기 연재하며 큰 인기를 끈 작가다.

일상툰 대표 작가로 꼽히는 난다는 이번에는 첫 장편 스토리 만화인 '도토리 문화센터'를 그렸다.

작가가 실제로 겪은 일상 이야기를 에피소드 형식으로 그리는 일상툰과 기승전결이 있는 스토리 만화는 장르적 차이가 크기 때문에 그가 스토리 만화로 돌아온 것은 독자들을 놀랍게 할만한 소식이었다.

난다 작가는 "'어쿠스틱 라이프'를 그리면서도 스토리 만화를 하겠다고 여러 차례 말해왔다"며 "처음에는 할머니를 주인공으로 한 판타지 장르를 생각했는데, 문화센터에 다니다가 이 공간에서 다양한 할머니, 할아버지가 모이면서 나오는 이야기를 그리면 재밌겠다고 생각했다"고 작품을 그리게 된 계기를 설명했다.

웹툰 작가 난다 캐릭터 [작가 제공]

'도토리 문화센터'는 취미활동을 경멸하고 일을 사랑하는 대기업 부장 고두리가 동네 문화센터에 잠입하는 이야기다.

고 부장은 문화센터 부지에 쇼핑몰을 짓겠다는 회사 프로젝트를 성사시키기 위해 센터 부지를 쪼개 소유한 4명의 회원에게 차례로 접근해 그들의 사연을 조사한다.

이 과정에서 환갑의 나이에도 여전히 어머니의 인정을 갈구하는 여의사, 가부장적인 남편 대신 트로트 가수에게 빠지게 된 가정주부 등 다양한 중장년의 모습이 조명된다. 동시에 평생 쓸모없다고 생각했던 취미의 매력에 빠지게 되는 고 부장의 모습도 보여준다.

작가는 작품의 핵심 소재인 '취미'에 대해 "일부러라도 가져야 한다"며 "잠은 집에서도 잘 수 있지만 가끔은 호텔에서 자는 것처럼, 취미를 갖고 가끔은 일상과 분리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웹툰의 주요 독자층이 MZ세대임에도 중장년층을 주요 등장인물로 내세운 배경에 대해서는 "매체 속 중년 등장인물은 전통적인 이미지로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좀 다르게 표현하고 싶었다"며 "노년층이라면 푸근한 이미지가 주로 나오지만, 실제로는 IT 기술에 익숙한 분들도, 성격이 시원시원하신 분들도 많다"고 설명했다.

웹툰 '도토리 문화센터' [작가 제공]

작가는 실제로 1∼2달가량 동네 문화센터 사군자교실 다니면서 보고들은 경험을 작품에 녹였다.

당시 사군자 수업의 간식시간에 나 홀로 꿋꿋이 난을 치는 회원의 모습에서 등장인물 정중순을, 어떤 주제든 과장해서 이야기하는 할머니를 보고는 남세미 캐릭터를 따왔다.

주인공인 고두리 부장과 문화센터 회원이자 부지 소유주인 4명의 등장인물 간의 관계에 대해 "서로에게 변환점 같은 관계"라며 "문화센터 회원들은 자기 일상을 살다가 고 부장으로 인해 변환점을 맞고, 고 부장 역시 자기 일을 잘하다가 문화센터 사람들과 엮이면서 점점 변하고 성장하게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아끼는 캐릭터로는 문화센터의 모든 소문을 꿰고 있는 남세미와 문화센터 자치회장인 지옥길을 꼽았다.

난다 작가는 "남세미의 경우 (인간관계에) 서투른 면이 좋다"며 "하는 행동, 존재만으로도 귀여운 캐릭터"라고 설명했다. 또 지옥길 회장에 대해서는 "또 다른 주인공이라고 생각하는 인물"이라고 귀띔했다.

웹툰 '도토리 문화센터'의 등장인물 남세미 [작가 제공]

'도토리 문화센터'의 이야기는 내년 여름까지 이어진다. 4년째 휴재 중인 '어쿠스틱 라이프'의 다음 시즌도 곧 만나볼 수 있게 될 전망이다.

난다 작가는 "처음 계획보다 길어져 내년 여름 이후에나 '도토리 문화센터'가 끝날 것 같다"며 "3개월 정도 휴식하고 '어쿠스틱 라이프'를 다시 하려고 계획을 짜고 있다"고 밝혔다.

'도토리 문화센터'는 현재 카카오웹툰에서 연재되고 있으며, 문학동네에서 단행본으로도 출간됐다.

heev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