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에 ‘120조 돈다발’ 인도 타타그룹…한미일 누구 손 잡나

김규식 특파원(kks1011@mk.co.kr) 2022. 12. 9. 21: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적극적 파트너십 체결해
반도체 후공정부터 첫발
타타선스의 나타라잔 찬드라세카란 회장 [로이터 = 연합뉴스]
인도 초대형 기업인 타타그룹이 자국에서 반도체 산업에 뛰어든다. 시장 진입을 위해 기존 반도체 업체와 파트너십을 맺는 방안을 추진할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한국·일본·대만 업체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타타그룹의 지주회사인 타타선스의 나타라잔 찬드라세카란 회장은 인터뷰를 통해 “타타 일렉트로닉스 신사업 부문으로 반도체 생산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타타는 우선 수년 내 회로 형성이 끝난 웨이퍼를 반도체 칩으로 마무리하는 후공정 사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반도체 회로를 만드는 작업으로 후공정보다 난이도가 높은 전공정 사업의 참가도 검토할 계획이다. 찬드라세카란 회장은 전공정 사업 진출과 관련해 후공정 사업의 진행상황을 보면서 “가능성을 평가해가겠다”고 설명했다.

타타는 기존 반도체 업체와 파트너십을 추진할 것으로 보이며, 협력 대상으로 미국·한국·일본·대만 등의 업체가 후보로 꼽힌다고 닛케이는 전했다. 찬드라세카란 회장은 이와 관련해 “복수의 반도체 업체와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타타는 디지털·기후변동 등 새로운 과제에 대응하면서 신사업을 출범시키는 ‘미래준비’ 전략을 진행하고 있고 이를 위해 5년간 약 900억 달러(약 117조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이 투자 대상에는 반도체, 배터리, 재생에너지 등 다양한 부문이 포함돼 있다.

타타의 반도체 시장 진출 추진은 자국내 반도체 서플라이체인(공급망) 구축을 통해 수급 안정성을 높이고 미·중 갈등으로 공급 안정을 위해 새로운 생산 입지를 찾는 수요 등을 감안한 전략으로 보인다. 타타의 가세로 미국·동아시아 등에 편중돼 있는 반도체 공급 능력이 남아시아 등으로 분산되는 계기가 만들어질 지 주목된다.

타타는 자동차, 철강, IT, 항공, 소매 등 여러 분야에서 사업을 벌이고 있는 인도 최대 기업 중 하나다. 2021년 그룹 매출은 9조6000억 루피(약 152조원)에 달한다. 그룹 내 핵심 사업에 자동차·IT 등이 포함돼 있는 만큼 반도체의 안정적 조달이 중요하다.

인도는 스마트폰과 전기차 등 반도체를 많이 사용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자국 시장도 성장하고 있지만 반도체 산업이 거의 없어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인도 자동차 산업은 지난해 반도체 부족으로 생산·판매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인도 정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생산 등에 7600억 루피를 지원하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