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상임위 상정된 조력존엄사법… 보건복지부 반기에 같은 당서도 '신중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지난 6월 국내에서 처음 발의한 '조력존엄사법'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돼 논의됐으나 보건복지부 등의 반대 의견에 부딪혀 일단 유보됐다.
같은 당 위원에게서도 신중론이 제기되는 등 법안 통과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지난 6일 열린 보건복지위 법안심사제2소위원회에서는 이른바 조력존엄사법으로 불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지난 6월 국내에서 처음 발의한 ‘조력존엄사법’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돼 논의됐으나 보건복지부 등의 반대 의견에 부딪혀 일단 유보됐다. 같은 당 위원에게서도 신중론이 제기되는 등 법안 통과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이어 “지금 연명의료 결정에 대해 임종기에 대해서만 허용하고 있다”며 “이것을 말기·식물상태·치매 등까지 단계적 확대해나간 연후에 조력존엄사를 다음 단계로 검토하는 것이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향 아니겠나”라고 덧붙였다.
법안을 대표 발의한 안 의원이 소속된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도 이 같은 신중론에 동조했다. 한 의원은 회의에서 “이 건은 정부 의견에 동의한다”며 “조금 더 깊이 있는 논의를 해야 될 필요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조력존엄사법은 수용하기 어려운 고통을 겪고 있는 말기 환자가 자신의 의사에 따라 담당 의사로부터 조력을 받아 스스로 삶을 종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법안과 관련해 국회 전문위원은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해외 입법례를 참조해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한 측면이 있다고 보인다”는 검토 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상임위 논의 분위기 등에 비춰 당장 법안 통과는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박지원 기자 g1@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폼페이오 “트럼프도 김정은도 판문점 회동에 文동행 원치 않았다” [특파원+]
- 63세 선우은숙 ‘재혼’ 유영재와 늦둥이 준비? “낳으면 언니가 키워준다고∼”
- 지상파·종편·케이블까지 꽉 잡은 오은영 박사…괜찮은 걸까?
- “절대 안돼” 시부모 자고 간다니 소리 지른 며느리, 결국 부부싸움
- “신지, 서장훈 만나 자식 하나만 낳아라” 토니안 母, 깜짝 제안
- 울산 고교 한국사 교사, 수업 중 “尹, 왜 20대 지지율 높은지 이해 안돼”…교육청 조사
- “안 씻으면 침대서 안 잔다”는 임수향은 ‘女 서장훈’? 집서 며칠 ‘떡진 머리’ 생활 드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