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2라운드 리뷰] 이승현-정창영, KCC가 그래도 버티는 이유

바스켓코리아 2022. 12. 9. 1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주 KCC의 전력을 형성한 이들은 누구였을까?2022~2023 KBL 2라운드가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혼전이지만, 10개 구단의 전력이 어느 정도 눈에 들어오고 있다.

10개 구단의 핵심 전력도 나왔다.

바스켓코리아 현장 취재진들은 구단의 전력을 형성했던 자원들을 살펴봤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주 KCC의 전력을 형성한 이들은 누구였을까?

2022~2023 KBL 2라운드가 끝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혼전이지만, 10개 구단의 전력이 어느 정도 눈에 들어오고 있다. 상중하 구분도 어느 정도 이뤄졌다.

10개 구단의 핵심 전력도 나왔다. 기대 이상으로 선전해준 선수도 나왔다. 그런 선수들의 힘이 팀의 전력을 형성했다. 바스켓코리아 현장 취재진들은 구단의 전력을 형성했던 자원들을 살펴봤다.
 

# MVP

손동환 : 1라운드도 그랬듯, 허웅(185cm, G)을 또 한 번 꼽고 싶다. 기복도 있었고 수비 약점도 있었지만, KCC의 공격을 이끈 건 분명 허웅이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선수들의 컨디션이 올라오자, 허웅의 경기력도 살아났다. 지난 3일 수원 KT전에서는 득점-어시스트 등 다양한 역할을 해냈다. 동료들과 시너지 효과를 낸 허웅은 더 무서웠고, KCC도 무서워질 조짐을 보였다.
박종호 : 이승현(197cm, F) 커리어에서 두 번째로 낮은 평균 득점을 기록하고 있다. 야투 성공률은 커리어 중 가장 낮다. 하지만 경기 영향력은 여전하다. 수비와 스크린 그리고 궂은 일로 팀 분위기를 끌어올린다. 득점력 또한 1라운드에 비해서는 많이 올라왔다. 고양 수호신에서 전주 수호신으로 자리 잡아가는 과정이다.
방성진 : 이승현이 보여줄 수 있는 최고의 활약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승현은 KCC의 기둥 역할을 한다. 미드-레인지 점퍼의 정확성을 조금씩 끌어올리고 있다. 이승현의 득점에 중요한 요소다. 정확한 타이밍에 선보이는 완벽한 스크린은 여전하다. 나이를 먹고 부상을 당해도, 궂은일부터 묵묵하게 담당한다.

# 인상적인 선수

손동환 : 전창진 KCC 감독은 김지완(188cm, G)의 컨디션을 계속 걱정했다. 그럴 만하다. 김지완을 대체할 포인트가드가 없었고, 허웅이나 정창영(193cm, G)의 부담이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지완이 경기 체력을 끌어올렸고, 다른 볼 핸들러의 부담이 줄었다. 이로 인해, 가드 라인과 빅맨진의 조화도 이뤄졌다. 김지완의 컨디션이 더 올라가거나 김지완의 상승세가 더 커진다면, KCC도 더 높은 곳을 바라볼 수 있다.
박종호 : KCC의 시작은 좋지 않았다. 하지만 정창영은 그 가운데서도 묵묵히 중심을 잡아줬다. 베테랑의 반열에 올랐지만, 평균 득점은 커리어에서 가장 높다. 그리고 팀 사정상 메인 핸들러 역할까지 소화하고 있다. 본인의 가장 큰 장점인 수비와 궂은일은 말할 필요도 없다.
방성진 : 정창영이 3번 포지션에서 홀로 분투한다. 정창영의 역할을 대체할 선수가 없기 때문. 득점과 경기 운영 보조, 리바운드까지 모두 참여한다. KCC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선수다. 완벽하지 않은 몸 상태에도 투지를 발휘한다. KCC에서 기대만큼 역할을 하는 유일한 선수.

사진 제공 = KBL
사진 설명 1 = 이승현(전주 KCC)
사진 설명 2 = 정창영(전주 KCC)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