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L 브레이크 리뷰] 상승세를 탄 서울 SK, 여전한 과제는?

바스켓코리아 2022. 12. 9. 10: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SK의 2라운드 경기력은 어땠을까?2022~2023 KBL 2라운드도 끝을 달려가고 있다.

최준용은 높이와 스피드로, 최성원은 앞선 압박과 3점포로 SK의 변화를 주도했다.

박종호 : 우리가 알고 있던 SK의 모습이 돌아왔다.

방성진 : SK가 드디어 '완전체' 전력을 갖췄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SK의 2라운드 경기력은 어땠을까?

2022~2023 KBL 2라운드도 끝을 달려가고 있다. 혼전이지만, 10개 구단의 전력이 어느 정도 눈에 들어오고 있다. 상중하 구분도 어느 정도 이뤄졌다.

10개 구단 모두 특징을 갖고 있었다. 인상적인 것도 있었고, 보완해야 할 점도 있었다. 현장을 돌아다닌 취재진이 구단별 특징을 살펴봤다.

# 인상적인 점

손동환 : 송창용(191cm, F)이 불의의 부상으로 이탈했지만, MVP 최준용(200cm, F)과 상무에 있던 최성원(185cm, G)이 돌아왔다. 최준용은 높이와 스피드로, 최성원은 앞선 압박과 3점포로 SK의 변화를 주도했다. 특히, 최준용의 복귀는 크다. 김선형(187cm, G)과 자밀 워니(199cm, C)를 더 강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박종호 : 우리가 알고 있던 SK의 모습이 돌아왔다. 여전히 빠르고 높다. 빠른 공격을 앞세워 상대를 공략한다. 1라운드에서는 2승 6패였지만, 최준용과 최성원 복귀 이후 5승 1패를 기록했다. 5할 승률에 도달했다.(9승 9패) 속공 득점과 리바운드도 리그 1위로 다시 올라섰다.
방성진 : SK가 드디어 ‘완전체’ 전력을 갖췄다. 부상에서 돌아온 최준용과 국군체육부대에서 전역한 최성원의 가세로 기세를 탔다. 두 선수의 복귀 이후 5승 1패를 기록하고 있다.
공격 전환 속도가 리그에서 가장 빠르다. 세 명의 가드를 활용한 라인업도 효과적이다. 최성원과 오재현(185cm, G)이 앞선 수비를 이끌고, 자밀 워니 역시 리그 최강 외국 선수의 위용을 되찾았다.

# 보완해야 할 점

손동환 : 부상 자원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특히, 스몰포워드 자원이 그렇다. 그래서 허일영(195cm, F)의 부담이 크다. 지금은 버티고 있지만, 더 많은 부상자는 SK의 경기 운용에 또 한 번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최준용 복귀 효과’ 또한 사라질 수 있다. 그렇게 되면, SK는 또 한 번 ‘플레이오프 마지노선’과 싸워야 한다.
박종호 : 최준용과 최성원이 돌아오며, SK의 로테이션이 한층 다양해졌다. 잠시 주전으로 나왔던 선수들은 벤치로 돌아갔다. 하지만 아직도 자기 역할을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SK의 주전은 리그 최고 수준이지만, 벤치 득점은 현재 23.7점으로 리그에서 가장 낮다. 벤치 선수들의 분전은 필수적이다.
방성진 : 전희철 SK 감독의 가장 큰 고민은 주전과 비주전의 큰 격차다. 식스맨으로 활약해야 할 양우섭(185cm, G), 송창용(191cm, F), 최원혁(182cm, G) 등의 활약이 필요하다.
좋은 경기력을 보이다 태만한 플레이로 따라잡히는 모습도 아쉽다. 냉정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또, 김선형과 최준용의 몸 상태는 완전하지 않다. 부상을 늘 조심해야 한다.

사진 제공 = KBL

Copyright © 바스켓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