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이어 대만-한국 관광 교류도 가속페달 밟았다

2022. 12. 9. 08:2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과 대만의 관광 교류 행보가 심상치 않다.

10월 대만인 방한 관광객 증가율이 웬만한 통계에서 좀처럼 나오기 어려운 전년동기 대비 3231%를 기록하더니, 양국 간 규제완화, 협력 MOU가 줄을 잇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관광공, 한-대만 항공 복항 등 계기
여행업계 협업과 소비자 홍보 확대

[헤럴드경제=함영훈 기자] 한국과 대만의 관광 교류 행보가 심상치 않다. 10월 대만인 방한 관광객 증가율이 웬만한 통계에서 좀처럼 나오기 어려운 전년동기 대비 3231%를 기록하더니, 양국 간 규제완화, 협력 MOU가 줄을 잇고 있다.

대만은 지난 10월 13일부터 방문객 격리면제 시행에 이어, 주간 20만명 이내로 제한한 방문 인원도 12월 10일부터 전면 해제한다. 한국관광공사는 이에 대만인들의 한국 방문 마케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팬데믹 이전 한참 상승세를 탔고, 당시 국가 별 한국방문객 수 3위 까지 치고 올라오던 나라이기에 분위기를 잘 조성할 경우 교류활성화가 예상 외의 성과로 이어질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대만 쉐프 제임스 쳉 방송 프로그램 촬영-조옥화 안동소주 체험

서영충 국제관광본부장은 “대만은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방한객 126만명을 기록, 중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관광객이 방한한 곳으로, 현지 여행업계 및 지자체, 지역관광공사 등과의 협업을 통한 집중 마케팅을 전개해 인바운드 관광산업의 조기 회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관광공은 지난 1일 대만 12대 여행사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신규 방한상품 개발과 공동 모객을 위해 상호 노력하기로 했다.

관광공은 이와함께 한-대만 직항노선 복항과 지방관광 조기 정상화를 위한 지자체, 지역관광공사, 항공사, 여행사 공동 협업 사업도 다수 추진하고 있다.

관광공과 제주도, 제주관광공사, 타이거에어는 제주 직항노선 복항을 기념, 대만 여행업자, 언론인, 인플루언서, 유관업계 인사 등 52명을 초청한 대규모 팸투어를 6일부터 실시하고 있다.

또 오는 13~17일까지는 강원도청, 강원도관광재단, 플라이강원과 함께 양양 직항노선 복항을 기념하여 합동 팸투어를 추진할 계획이다.

한국관광공사와 대만 메이저 여행사들 간의 업무협약 체결식

또한 지방 취항·복항 항공편에 대한 특별 지원과 함께 대만 해외여행 조기수요 선점을 위해 방한상품 취급 여행사, 항공사들과 함께 연말연시 대규모 프로모션도 추진할 예정이다.

소비자 대상 방한관광 선호도 제고를 위한 홍보도 확대하고 있다. 대만 방한객 전 연령층이 가장 선호하는 미식(​美食) 콘텐츠로 소비자들의 방한관광 수요를 자극하고자 12월 3일부터 12일까지 10일간 대만의 유명 쉐프 제임스 쳉을 초청, 팔대TV(八大TV)의 미식 프로그램인 ‘제임스 요리하러 가다!(詹姆士出走料理)’에서 안동찜닭, 수원갈비, 딸기 디저트, 김치, 막걸리, 사찰음식 등을 직접 만들고 맛보는 특집 프로그램을 제작 중이다.

더불어 지자체, 지역관광공사와 공동으로 ‘한국여행에서 꼭 먹어야 할 지역특색 미식 100선’을 선정하고 여행사의 미식여행 테마의 신규 상품개발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abc@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