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아침의 문장] "어떤 목숨붙이도 자기가 태어날 자리를 자기가 결정할 수 없다네."

2022. 12. 8. 18: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남의 둥지에 슬쩍 자신의 알을 낳아 키우는 탁란(托卵). 두견이과의 새(뻐꾸기류)가 대표적이다.

오목눈이의 둥지에 숨어든 뻐꾸기가 오목눈이 알을 둥지 밖으로 밀어내고 자신의 알을 낳아 채워 넣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10초 내외.

오목눈이 아비와 어미는 뻐꾸기 새끼를 제 새끼라 여기고 열심히 벌레를 물어와 먹인다.

그래서 오목눈이 '육분이'는 뻐꾸기 새끼 '앵두'를 찾아 먼 길을 떠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문화의 가교 한경
이순원 <오목눈이의 사랑> (해냄) 中

남의 둥지에 슬쩍 자신의 알을 낳아 키우는 탁란(托卵). 두견이과의 새(뻐꾸기류)가 대표적이다. 오목눈이의 둥지에 숨어든 뻐꾸기가 오목눈이 알을 둥지 밖으로 밀어내고 자신의 알을 낳아 채워 넣기까지 걸리는 시간은 단 10초 내외. 오목눈이 아비와 어미는 뻐꾸기 새끼를 제 새끼라 여기고 열심히 벌레를 물어와 먹인다. 이것을 자연의 섭리라 불러야 할지, 영악한 뻐꾸기의 속임수나 오목눈이의 눈먼 모성이라고 불러야 할지는 모르겠지만 <오목눈이의 사랑>은 말한다. ‘내 둥지에서 자라서 날아간 뻐꾸기 새끼와의 인연이 단순히 우리가, 또 내가 정말 바보 같고 멍청해서만 맺어졌던 것일까.’

낳은 정과 기른 정. <오목눈이의 사랑>은 그 둘이 다르지 않다고 말한다. 그래서 오목눈이 ‘육분이’는 뻐꾸기 새끼 ‘앵두’를 찾아 먼 길을 떠난다. 인도의 고추잠자리처럼, 육분이는 12㎝에 10g도 안 되는 작은 몸으로 수평선을 가른다. 바다를 건너는 것에는 뭔가 사람을 압도하는 이미지가 있다고, 맹목적인 사랑 또한 그러하다고. 보이지 않는 어떤 힘에 이끌리듯 <오목눈이의 사랑>을 읽었다.

소설가 허남훈(2021 한경 신춘문예 당선자)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