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 나문희와 같은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영화보고서:리뷰]

허민녕 2022. 12. 8. 18: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명 뮤지컬을 영화화한 '영웅'이 지닌 난제는 이게 아니었을까.

분량이, 객관적인 가창 퀄리티가 그게 중요한가, 영화에서? '영웅'엔 나문희가 있다.

그걸 연륜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누구에게나 허락되는 건 아니므로 영화의 주요 장치를 빌어 '주님의 은총'이라고도 할 만하다.

대중의 기억에 남을 만한 그 좋은 영화의 '수혜'를 알고 보면 의외의 인물이 누려왔듯 '영웅'은 이 시대의 명배우 나문희를 위한 '살아있는 헌사'란 생각이 든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나문희와 같은 시대를 살고 있다는 것. 나문희가 배우로서 신에게서 받은 ‘은총’이 있다면 그걸 이 영화 ‘영웅’에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다.
영화 ‘영웅’에서 안중근 열사의 어머니 조 마리아를 연기한 나문희

[뉴스엔 허민녕 기자]

동명 뮤지컬을 영화화한 ‘영웅’이 지닌 난제는 이게 아니었을까. 원작과는 다른 지점 혹은 그 이상, 누구도 기대치도 예상치도 않았던 ‘그 한방’을 무엇으로 채워야 하나.

분량이, 객관적인 가창 퀄리티가 그게 중요한가, 영화에서? ‘영웅’엔 나문희가 있다. 그 누구라도 ‘무장해제’다. 역사에 기반한 팩션을 소리 없이 강한 드라마로 어느 한 순간에 완성하는 이건 ‘신기’에 가깝다. 그걸 연륜이라 할 수도 있겠지만 누구에게나 허락되는 건 아니므로 영화의 주요 장치를 빌어 ‘주님의 은총’이라고도 할 만하다.

모든 영상매체를 통틀어 유독 영화에서만 ‘명 장면’을 추리는 이유도 분명 있을 터. 대중의 기억에 남을 만한 그 좋은 영화의 ‘수혜’를 알고 보면 의외의 인물이 누려왔듯 ‘영웅’은 이 시대의 명배우 나문희를 위한 ‘살아있는 헌사’란 생각이 든다. 나문희의 조 마리아를 마주한다는 것만으로도 ‘영웅’을 감상해야 할 이유는 충분하다.

안중근이 주인공이라 하여 과한 항일이라던가 애국이라던가 일만의 ‘편견’을 가질 수도 있겠으나 영화 ‘영웅’에선 염려하지 않아도 될 부분임도 강조해 둔다. 과거부터 내려오는 그 유명한 구절이 직접 인용되진 않았지만 ‘영웅’ 속 열사의 언행을 보면 자연스레 떠오를 수밖에 없다. ‘죄를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라’였다. 영화를 통해 비로소 온전한 ‘안중근 열사의 참 정신’을 젊은 세대가 만날 수도 있을 것 같다.

원작 뮤지컬부터 내려온 ‘안중근=정성화’ 공식을 정통성 측면에서 영화에도 가져왔다면 성공적임을 부인할 수 없다. 어쨌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스코어, 노래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속에서 가장 오랫동안 가장 처절하게 그리고 가장 잘 해온 이는 대중이 인정해온 정성화였단 점, 영화도 그 대목을 지나칠 순 없었을 거다.

그게 ‘작은 모험’이었다 해도 ‘오리지널리티’를 존중한 점은 높이 살 만 하지 않을까.

소문은 들었는데 겪어본 바 없는 김고은의 노래 실력은 ‘영웅’을 위해 지금껏 아껴 두었음도 밝혀 둔다. 뮤지컬 영화를 제 목소리로 백퍼센트 소화 가능한 톱배우가 ‘우리에게도’ 있었다.

영화는 성탄절 직전인 12월21일 개봉될 예정. 경쟁작은 ‘아바타:물의 길’이다.(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뉴스엔 허민녕 mignon@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en@newsen.com copyrightⓒ 뉴스엔.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