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년간 골든블루 키웠는데 지분은 '0'… 김동욱 사임 배경은?

조승예, 연희진 기자 2022. 12. 8. 17:4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최대 위스키 업체 골든블루의 대표이사가 갑작스럽게 교체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김동욱 전 대표(52)가 건강상의 이유로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

박 회장 일가는 지난해에만 총 31억1740만원 가량의 배당금을 수령했지만 지분이 없는 김 전 대표는 한 푼의 배당금도 가져가지 못했다.

박 회장과 김 전 대표가 2021년 4월 설립된 골든블루 노조 문제를 두고 잦은 의견 충돌을 보였다는 불화설도 나온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골든블루의 대표이사가 갑작스럽게 교체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몰리고 있다. 사진은 김동욱(왼쪽) 전 골든블루 대표와 박용수 골든블루 회장./사진=골든블루
국내 최대 위스키 업체 골든블루의 대표이사가 갑작스럽게 교체되면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주류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김동욱 전 대표(52)가 건강상의 이유로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났다. 당초 김 전 대표의 임기 만료일은 2023년 3월23일이었다. 박용수 골든블루 회장(75)은 회사를 인수한 2011년 이후 처음으로 대표이사에 올랐다.

갑작스러운 대표이사 교체 소식에 업계에서는 의아하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김 전 대표가 임기 만료를 3개월 앞두고 돌연 사임했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임기 만료 전 대표 교체는 문책 인사인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골든블루는 올해 3분기 역대 최대 실적을 올렸다.

골든블루의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액은 전년동기대비 65.3% 증가한 1571억700만원으로 지난해 연간 매출액(1378억6200만원)을 이미 뛰어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185.1% 늘어난 453억6900만원을, 당기순이익은 371억6100만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98.8% 증가했다.

골든블루 내부 관계자에 따르면 대표가 바뀐 지 2주가 지날 때까지 직원들은 대표이사 교체 사실을 알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대표는 지난 11년간 맡았던 대표직을 내려놓으며 직원들에게 별도의 인사 등도 하지 않았다.

골든블루 관계자는 "김 전 대표가 건강 상의 문제 때문에 자리에서 내려오신 걸로 알고 있다"며 "김 전 대표가 아예 회사를 떠나는 것은 아니라 사내이사직은 유지하기 때문에 특별히 따로 인사를 내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 돌연 사임에 가족간 불협화음설도


업계 일각에서는 김 전 대표와 박 회장 등 가족 간 불협화음설도 제기된다. 김 전 대표는 박 회장 첫째 딸의 사위다. 첫째 딸인 박동영씨는 골든블루 지분 22.40%를 보유하고 있지만 경영에는 참여하지 않고 있다. 둘째 딸인 박소영씨는 2018년 1분기 보고서에 경영총괄을 담당하는 등기 임원으로 첫 등장했다.

박소영 이사는 성우하이텍 계열사 EXR에서 근무한 이력이 있다. EXR은 이명근 성우하이텍 회장의 처남인 민복기 전 대표가 설립해 13년 동안 이끌었지만 2016년 철수한 브랜드다.

김 전 대표가 갑자기 물러난 것이 박 회장의 둘째 딸인 박소영 이사를 경영 전면에 내세우기 위한 과정이 아니냐는 의견도 나온다. 골든블루는 박 회장 일가의 지분율이 81.65%에 달한다. 박용수 회장과 부인이 각각 18.41%와 18.4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두 딸인 박동영, 박소영이 각각 22.40%를 보유하고 있다. 김 전 대표는 11년 동안 대표이사로 회사를 이끌었지만 지분은 없다.

골든블루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골든블루의 총 배당금은 38억1800만원으로 전년(27억2700만원) 대비 28.6%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이 158억9300만원에서 139억8000만원으로 감소했음에도 배당금 규모는 오히려 늘어났다.

박 회장 일가는 지난해에만 총 31억1740만원 가량의 배당금을 수령했지만 지분이 없는 김 전 대표는 한 푼의 배당금도 가져가지 못했다. 지난해 박 회장은 급여로 11억1600만원과 상여 17억4100만원 등 총 28억5700만원을 받았지만 김 전 대표는 급여 3억3000만원과 상여 2억7700만원 등 6억700만원을 수령했다.

박 회장과 김 전 대표가 2021년 4월 설립된 골든블루 노조 문제를 두고 잦은 의견 충돌을 보였다는 불화설도 나온다.

주류업계 관계자는 "박 회장 경영 철학 중 하나가 '무(無)노조'로 창사 이래 한 번도 노조가 없었는데 지난해 처음 노조가 결성됐다"며 "박 회장과 김 전 대표의 갈등이 있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

조승예, 연희진 기자 csysy24@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