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삽도 못뜨고 "역세권, 강남 땅 팝니다"…자금난에 줄줄이 '백기'
새로운 건물을 짓기 위해 매입했는데 몇 개월 만에 다시 매물로 나온 경우도 적지 않다. 강남구 역삼동 부지(75.69평)는 올 4월 다가구를 매입해 철거, 신축 인허가 작업까지 마쳤다. 하지만 결국 첫 삽을 뜨지 못하고 지난달 매물로 나왔다. 지하철 2호선 역삼동 도보권에 위치한 부지다.
올해 2월 다가구를 매입해 철거한 서초구 반포동 부지(55.99평) 역시 건물을 짓지 못하고 지난 5일 매물로 등장했다. 지하철 9호선·신분당선인 신논현역을 걸어서 이용할 수 있다. 나대지 형태로 즉시 신축이 가능한 토지다.
올 5월에 매매가 이뤄진 동대문구 전논동 단독주택도 건물을 짓기 위해 철거했지만 이달 4일 매물로 나왔다. 지하철1호선 청량리역 도보권에 위치한다. 매도자는 "자금 사정에 따라 급하게 처분한다"고 설명했다.
지난달 매물로 나온 서울 마포구 아현동 부지(61.10평)는 지하철 2호선 아현역·이대역 도보권이다. 바로 앞에 아현2구역 재건축 단지인 '마포 더 클래시'가 위치해 배후수요를 기대할 수 있는 위치다. 강북권에서 처음으로 분양가가 평당 4000만원을 넘겨 최근 이슈가 된 단지기도 하다. 좋은 입지에 건축허가까지 받았지만 매수 후 1년만에 다시 매물로 내놨다.
서울 노른자 입지 땅까지 매물로 나온 이유는 복합적이다. 우선 자금조달이 되지 않고 브릿지론 연장에 성공하더라도 조달 비용이 치솟았다. 내년 상반기엔 단기조달 상품인 브릿지론 금리는 연 20% 안팎, PF 금리도 연 15%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여기에 자잿값·인건비 상승으로 사업성은 더 떨어진다. 부동산 시장마저 침체해 분양 흥행도 장담할 수 없다.
부동산 시행사 한 관계자는 "지난해부터 강남 역세권에 꼬마빌딩, 작은 오피스 빌딩 등을 지어서 분양하는 게 유행이었는데 올 하반기 들어 PF가 막히면서 차질을 빚고 있는 사업장이 늘고 있다"면서 "정부가 자금경색을 풀기 위해 완화책을 내놨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자금조달이 안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마저 확 꺾이면서 부동산 개발 시장이 점점 더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말했다.
배규민 기자 bkm@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 "사랑 아닌 사냥"…몰래 여친 집 이불 바꾸고 해외출장 따라간 남친 - 머니투데이
- 황희찬 "패딩 찢어진 거 아닙니다" 직접 해명…무슨 일? - 머니투데이
- '61세 싱글' 안문숙 "모태솔로?" 김영란 돌직구에 "그건…" - 머니투데이
- 프란치스코 교황, 한국 男 배우에게 "성인이 될 상"…누구길래 - 머니투데이
- 제니, '인간 샤넬' 그 자체…특별제작 파격 의상 '눈길' - 머니투데이
- 김구라, 재혼 시기 해명…"이혼 1년 전 사실상 결별, 공백 있었다" - 머니투데이
- "아이 돌려줘" 돈도 줬는데…살해하고 잠적한 베트남 가정부 '발칵' - 머니투데이
- 급락 종목 우르르…"내 갈 길 간다" 상한가 찍은 기업은? - 머니투데이
- 이재명, 결국 구속 위기...민주당, 총선 앞두고 '권력투쟁' 돌입 - 머니투데이
- 이재명 구속영장심사 이르면 다음주…한동훈 "대규모 비리의 정점"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