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탄소 배출량 연계한 철강·알루미늄 관세 추진

류선우 기자 2022. 12. 8. 15:36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철강 업체의 용광로 (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이 기후변화 대응 차원에서 국가별 탄소 배출량에 따라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를 차등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 통신이 현지시간 8일 익명의 당국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습니다.

로이터가 입수한 관련 문서에 따르면 미 무역대표부(USTR)는 시장경제 국가들을 가입 대상으로 하는 일종의 협정을 체결, 특정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 생산과 관련한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설정할 방침입니다.

이에 따라 철강·알루미늄 공장의 탄소 배출량이 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국가에는 이들 금속 수출 시 더 높은 관세율을 적용하고, 기준치에 미달하는 국가의 경우에는 추가 관세를 매기지 않는 식으로 탄소 절감을 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미 무역대표부는 이런 내용을 유럽연합(EU)에 제안했으며, 추후 협상에 나설 방침이라고 로이터는 보도했습니다.

한 소식통은 "협정에 가입할 경우, 가입하지 않은 국가보다 낮은 수준의 탄소 관세만 부과받는 이점이 있을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개념적인 구상이며,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습니다.

로이터는 지난해 10월 미국과 EU가 역내 철강 제품에 저율할당관세(TRQ)를 적용하기로 합의한 후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녹색 철강' 생산 논의를 이어왔다고 설명했습니다.

미국 내 철강 생산은 대부분 고철을 활용, 전기로를 통해 생산되며 탄소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이런 탄소 관세가 현실화할 경우 석탄 의존도가 높은 유럽 지역 철강업체들보다 미국 내 철강업체들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이번 논의는 무엇보다도 철강 등 금속 생산에 석탄을 활용하는 중국을 겨냥한 측면이 크다고 로이터는 전했습니다.

지난 5일 블룸버그 통신도 미국과 EU가 중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에 탄소 배출 관세를 새로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로이터는 "이 계획이 시행되면 중국산 철강을 서방 시장에서 배제할 수 있는 새로운 근거가 마련될 것"이라면서도 "EU는 단순하게 관세에 기반한 미국의 제안과 상당히 다른 탄소국경세 제도를 제안해왔기 때문에, 조정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