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률 4분의 1토막 난 후 “연준이 심각한 실수” 돈나무언니의 비판

권한울 기자(hanfence@mk.co.kr) 2022. 12. 8. 13:2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캐시우드 아크인베스트 CEO
“미국 장단기 국채수익률 역전
심각한 실수하고 있다는 신호”

월가의 ‘돈나무 언니’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캐시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채권시장은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심각한 실수를 하고 있다는 신호를 보내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8일(현지시간) CNBC에 따르면 캐시우드는 이날 트위터에 “채권시장은 연준이 심각한 실수를 하고 있다는 신호를 주는 것 같다”며 “10년물과 2년물 미국 국채수익률 역전폭은 -80bp대로, 인플레이션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던 1980년대 초반 이후 어느 때보다 가장 큰 폭으로 역전됐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의 미 국채수익률 80bp대 역전폭이 지난 80년대보다 연준에 훨씬 더 위험한 신호라고 왜 경제학자들이 강조하지 않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CNBC는 2년물 수익률은 연초 0.73%에서 4.33%로 치솟아 2008년 1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다.

채권시장에서 장단기 수익률 역전은 경기 침체 신호로 인식돼 왔다. 캐시우드는 “디플레이션이 인플레이션보다 훨씬 더 큰 위험”이라며 “상품 가격과 대규모 소매업체들의 할인은 이런 관점을 뒷받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놀랍게도 유가가 배럴당 130달러대에서 74달러대로 급격히 하락했음에도 S&P에너지 섹터(XLE) 가격은 역대 최고치에서 별로 떨어지지 않았다”며 “그러는 동안 많은 초기 단계 혁신 주식은 코로나19 저점 이하로 떨어졌다”고 지적했다.

미국 LA에서 열린 밀컨글로벌콘퍼런스에 참석한 스티븐 므누신 전 미국 재무장관(오른쪽)이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 CEO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매경 DB]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