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K 성공률, 2018년 70.6%→ 올해 58.1%로 하락

김영성 기자 2022. 12. 8. 13: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페널티킥 성공률이 승부차기를 포함해 58%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경기 도중 발생한 페널티킥이 16개 나왔고, 승부차기는 15차례 시도가 이뤄졌습니다.

승부차기를 제외한 경기 도중 발생한 페널티킥 성공률만 보면 이번 대회는 16개 중 11개 성공으로 68.8%를 기록 중입니다.

2018년 대회는 경기 도중 페널티킥 성공률 75.9%(22/29), 승부차기 성공률 66.7%(26/39)였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페널티킥 성공률이 승부차기를 포함해 58%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대회에서는 경기 도중 발생한 페널티킥이 16개 나왔고, 승부차기는 15차례 시도가 이뤄졌습니다.

총 31차례의 페널티킥에서 골로 연결된 것은 18번으로 성공률은 58.1%입니다.

이는 지난 2018년 러시아 월드컵의 70.6%에 비해 12.5% 정도 떨어진 수치입니다.

2018년 대회에서는 경기 도중 나온 페널티킥 29회, 승부차기 39회로 총 68회의 페널티킥 시도가 있었고 이 가운데 48차례 골로 연결됐습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이 2020년 4월 발표한 1983년 프로축구 출범 후 페널티킥 성공률은 79.2%로 집계된 바 있습니다.

2010-2011시즌부터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에서도 1천397차례 페널티킥 가운데 1천94번이 골로 연결돼 성공률은 78%에 달했습니다.

월드컵은 단일 대회인데다 키커의 부담이 평소 리그 경기에 비해 훨씬 크다는 점을 고려해도 이번 대회 58% 성공률은 눈에 띄게 낮은 수치입니다.

로베르트 레반도프스키(폴란드), 리오넬 메시(아르헨티나) 등 세계적인 공격수들도 이번 대회 페널티킥 기회를 살리지 못했습니다.

'무적함대'로 불린 스페인은 페널티킥 연습을 1천 번씩 했지만 정작 모로코와 16강전에서 한 골도 넣지 못하고 승부차기에서 3대 0으로 졌습니다.

키커의 실축이 아닌 골키퍼가 선방할 확률도 이번 대회에서 크게 늘었습니다.

이번 대회 골키퍼가 상대 팀의 페널티킥을 막아낸 것은 35.5%에 해당하는 11번입니다.

영국 신문 데일리 메일에 따르면 1966년부터 2018년 대회까지 페널티킥을 골키퍼가 막아낸 확률은 17%였습니다.

이번 대회 골키퍼 선방 확률이 2배 이상 늘어난 겁니다.

승부차기를 제외한 경기 도중 발생한 페널티킥 성공률만 보면 이번 대회는 16개 중 11개 성공으로 68.8%를 기록 중입니다.

승부차기는 15번 가운데 7개 성공으로 46.7%입니다.

2018년 대회는 경기 도중 페널티킥 성공률 75.9%(22/29), 승부차기 성공률 66.7%(26/39)였습니다.

미국 스포츠 전문 매체 ESPN은 "1966년 대회부터 지난 대회까지 월드컵 경기 도중 발생한 페널티킥 성공률은 80%(176/220)"라고 보도했습니다.

반면 키커의 부담이 커지는 승부차기의 성공률은 69%라고 덧붙였습니다.

승부차기 중에서도 1번 키커의 성공률이 75%로 가장 높고, 4번이 64%, 5번 65% 등 뒤로 갈수록 낮아지다가 한 명씩 성공 여부에 따라 승부가 갈리는 6번 키커까지 가면 성공률이 50%로 뚝 떨어집니다.

(사진=AP, 연합뉴스)

김영성 기자yskim@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