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수능 2년차 '불 수학'…수학 만점자, 작년 3분의 1로 뚝

유영규 기자 2022. 12. 8. 11: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이과 통합형 2년 차였던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도 수학을 중심으로 만만치 않은 난도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학영역의 경우 시험이 어려울수록 상승하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약간 하락했지만, 만점자 수는 지난해 대비 3분의 1토막이 나며 2018학년도 수능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불수능'을 이끌었던 국어영역은 난도가 낮아지며 표준점수 최고점이 15점 하락했습니다.

2023학년도 수능 국어영역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이 134점으로 전년(149점) 대비 15점이나 하락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이과 통합형 2년 차였던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도 수학을 중심으로 만만치 않은 난도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학영역의 경우 시험이 어려울수록 상승하는 '표준점수 최고점'이 약간 하락했지만, 만점자 수는 지난해 대비 3분의 1토막이 나며 2018학년도 수능 이후 가장 적은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불수능'을 이끌었던 국어영역은 난도가 낮아지며 표준점수 최고점이 15점 하락했습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17일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오늘(8일) 발표했습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사실상 '만점')을 보면 국어는 전년 대비 평이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입니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만점자가 받을 표준점수, 즉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합니다.

시험이 쉬우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합니다.


2023학년도 수능 국어영역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이 134점으로 전년(149점) 대비 15점이나 하락했습니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2019학년도 수능이 150점으로 역대 수능 가운데 가장 높았고, 이후 계속 140점대를 유지했지만 올해는 2018학년도(134점) 이후 5년 만에 130점대로 내려왔습니다.

1등급과 2등급을 가르는 구분점수(등급 컷) 역시 전년 131점에서 올해 126점으로 5점 내렸습니다.

이는 2013학년도(125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만점자 수는 371명(0.08%)으로 전년(28명, 0.01%) 대비 크게 늘었습니다.

다만, 만점자 수만 놓고 보면 난도가 꽤 높았던 2020학년도(777명, 0.16%)보다도 적은 수준입니다.

수학영역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이 전년(147점) 대비 2점 하락한 145점을 기록했습니다.

1등급 컷은 133점으로 전년(137점) 대비 4점 하락했습니다.

하지만 만점자 수는 전년(2천702명, 0.63%) 대비 3분의 1토막이 난 934명(0.22%)으로 집계됐습니다.

수학영역 만점자 수가 1천 명을 밑돈 것은 2018학년도(수학 가형 165명, 수학 나형 362명) 이후 처음이어서 올해 수학이 최상위권 학생들에게 상당히 어려운 시험이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절대평가인 영어영역에서 원점수 90점 이상으로 1등급을 받은 수험생 비율은 7.83%(3만 4천830명)로, 상당히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던 전년 수능(6.25%, 2만 7천830명)보다 다소 늘었습니다.

다만, 2등급 비율은 18.67%, 3등급 비율은 21.75%로 각각 전년 대비 3∼4%포인트가량 하락해 중위권 학생들의 체감 난도가 높았던 것으로 풀이됩니다.


탐구영역의 경우 1등급 컷은 사회탐구 65∼68점, 과학탐구 64∼68점, 직업탐구 67∼74점으로 나타났는데 사회탐구와 직업탐구의 등급 컷이 전년(사탐 63∼66점, 직탐 66∼70점) 대비 다소 상승한 모습입니다.

선택과목별 등급 컷은 사회탐구의 경우 윤리와 사상, 경제(각 68점)가 가장 높았고, 과학탐구의 경우 화학Ⅰ(68점)이 가장 높았습니다.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 1등급 비율은 28.88%(12만 9천273명)로 전년(37.57%)보다 9%포인트 가까이 떨어졌습니다.

작년 수능부터 절대평가로 바뀐 제2외국어/한문영역의 경우 원점수 45점 이상으로 1등급을 받은 학생 비율이 러시아어Ⅰ 2.09%, 아랍어Ⅰ은 2.16%인데 비해 중국어Ⅰ은 11.33%로 과목별 격차가 컸습니다.

올해 수능에는 50만 8천30명이 원서를 내 88.1%인 44만 7천669명이 응시했습니다.

응시자 기준으로 전년 대비 469명 줄어든 규모입니다.

개인별 성적통지표는 내일 교부됩니다.

(사진=연합뉴스)

유영규 기자sbsnewmedia@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