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략] 연준도 인플레 억제 과정서 '경기 둔화' 불가피 인정

강산 기자 2022. 12. 8. 07:27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경제와이드 모닝벨 '전문가 전화 연결' - 김민수 레몬리서치 대표

Q. 뉴욕증시는 사흘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FOMC 회의를 앞두고 연준의 긴축 위험과 경기침체 불안감이 커진 탓인데요. 오늘(8일) 장 움직임부터 짚어 주시죠? 

- 경기침체 공포 확산…뉴욕증시, 등락 끝에 혼조 마감 
- FOMC 회의 앞두고 긴축 위험·경기침체 우려 주목 
- 최악의 시나리오 '금리인상 멈춰도 경기침체 계속' 
- 美 10년물-2년물 국채금리 스프레드 -80으로 확대 
- 캐시 우드 "국채금리 역전폭 확대, 연준 실수 신호" 
- 경기침체 경고 속 FOMC 회의 앞두고 관망세 짙어 
- 모건스탠리 "12월 아이폰 출하 300만 대 더 감소" 
- 머스크, 테슬라 주가 급락에 한때 부자 1위 내줘 
- 경기침체 공포 속 국채금리·유가 급락, 금은 상승 
- 민심 달래기 나선 中…대유행 3년 만에 '위드 코로나' 
- '감염 0명' 유지 정책, 지방 정부마저 "한계" 비판 
- "일상적인 PCR 검사 폐지"…자가 격리도 허용 
- "中 제로 코로나 해제, 최대 2억여 명 감염 경고" 

Q. 월가 거물 인사들이 잇따라 경기침체를 경고하고 나서면서 'R의 공포'가 다시 커지고 있는데요. 실제 경기침체 가능성과 침체 강도,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 월가 경고에 되살아난 'R의 공포'…침체 강도는? 
- 쏟아지는 비관론…민간 소비 둔화로 경기침체 가능성 
- 금리인상 후폭풍·전쟁 등 여파로 '불황' 본격화 
- 골드만삭스도 JP모건도 "인플레가 경제 탈선시켜" 
- 블룸버그 이코노믹스, 내년 세계 성장률 30여 년 내 최저 
- 연준도 인플레 억제 과정서 '경기 둔화' 불가피 인정 
- 연준이 얼마나 경기침체를 용인할 수 있을지 주목 
- 경기침체 시그널, 10년-2년물 금리 역전폭 -80bp대 
- 생산자물가지수·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관심 집중 
- '침체 강도' 관건…얕은 침체 전망, 변동성 대응必 
- 뱅크오브아메리카 CEO "주식보다 채권을 보라" 

(자세한 내용은 동영상을 시청하시기 바랍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