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은귀의 詩와 視線] 그냥 하는 말인데/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2022. 12. 8. 05: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시가 번역이 되냐고, 시는 번역이 불가능하다고들 한다.

시를 번역하고 들려주는 사람으로서 나는 번역 불가능한 시는 없다고 생각한다.

언어와 언어 사이에 극복할 수 없는 차이가 있지만 시는 번역 가능한 너른 영토다.

번역은 시와 시를 잇는 다리, 다른 언어 다른 문화 다른 시간 다른 공간 다른 느낌과 사유를 잇는 유일한 다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은귀 한국외대 영문학과 교수

내가 먹었네요

아이스박스 안에

있던

그 자두를

그거

당신이 아마도

아침으로 먹으려고

아껴 둔 것일 텐데

나 좀 봐줘

자두 참 맛있었거든

무지 달고

무지 차갑던데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그냥 하는 말인데’

시가 번역이 되냐고, 시는 번역이 불가능하다고들 한다. 그렇다. 그런데 그렇지는 않다. 시를 번역하고 들려주는 사람으로서 나는 번역 불가능한 시는 없다고 생각한다. 언어와 언어 사이에 극복할 수 없는 차이가 있지만 시는 번역 가능한 너른 영토다. 번역은 시와 시를 잇는 다리, 다른 언어 다른 문화 다른 시간 다른 공간 다른 느낌과 사유를 잇는 유일한 다리다. 번역이 없으면 소통과 감응은 불가능하다. 그래서 나는 시를 읽고 번역하는 일이 재밌다. 번역은 언어의 내밀한 살을 어루만지고 시를 정밀하게 바라보게 한다.

번역은 시가 내게 주는 그 좋은 걸 널리 전하는 일이다. 슬플 때, 아플 때, 지칠 때, 상처 입을 때, 기쁠 때 시를 마주하면 내 슬픔과 기쁨, 상처를 다르게 보는 시선을 얻는다. 그렇게 시는 매일 나를 깨워서 매일 다른 나를 만든다. 이번에는 ‘그냥 하는 말’이 시가 되어 어떤 기쁨, 어떤 다름을 우리에게 주는지 본다.

윌리엄 칼로스 윌리엄스. 그는 의사였다. 의사와 시인의 공통점은? 대상을 면밀히 관찰한다는 거다. 그 관찰은 관심과 사랑에서 나온다. 이 시는 어느 아침 평범한 부부의 대화 같다. 부부가 아니라 친구여도 좋다. 식구 중 한 사람이 다른 이가 먹으려고 냉장고에 넣어 둔 자두를 먹어버렸다.(20세기 초엔 아이스박스형 냉장고가 있었는데 그 시절의 느낌을 살리려고 그냥 아이스박스로 옮겼다.)

그런데 시의 화자는 미안하다고 말하지 않는다. 대신 좀 봐달라고 너스레를 떤다. 그러곤 덧붙이길 자두 참 맛있더라고. 무지 달고, 무지 차갑더라고. 이쯤 되면 너스레가 아니라 약을 올리는 것 아닌가. 달달하고 차가운 자두를 상상하면 입에 침이 고인다. 이 시는 흡사, ‘영감 왜 불러, 뒤뜰에 뛰어놀던 병아리 한 쌍을 보았소? 보았지 어쨌소 이 몸이 늙어서 몸보신하려고 먹었지’라는 우리 옛 노래의 미국 판이다. 우리 노래가 구수하다면 미국의 시는 새침하다.

그래서 밉냐고? 어쩌겠는가? 이미 먹은 자두를. 다들 이렇게 사는 것을. 동네 구멍가게에서 산 붕어빵을 혼자 다 먹어버린 어제의 내가 오늘의 식구에게 미안해서 이 시를 떠올린 건 아니다. 시는 밋밋한 일상의 결을 재밌게 확대한다. 그 시선은 쉬 지치는 우리를 다독다독 쓰다듬는다. 우리는 순하게 웃으며 꽃처럼 확 피어난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