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BNK 회장 뽑는데 ‘보이지 않는 손’이란 말 왜 나오나

2022. 12. 8. 03: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선임 과정을 지켜보는 지역 사회의 우려가 크다.

현재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은 지난달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지적 이후 급하게 개정된 '최고경영자(CEO) 후보자 추천 및 경영승계 절차'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다른 금융지주에는 회장 후보를 만 70세 이하로 하는 '70세 룰'이 있으나 BNK는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선임권 가진 임추위 지역인사 소수…깜깜이 추천에 외부입김 커질 우려

BNK금융지주 차기 회장 선임 과정을 지켜보는 지역 사회의 우려가 크다. 한마디로 후보 선정 절차가 너무 불투명해서다. 후보 자격을 정하는 BNK 내부 규정부터 외부기관의 후보 선정 방식, 회장 선임권을 가진 임원후보자추천위원회(임추위)의 인적 구성에 이르기까지 하나같이 의심스러운 대목 투성이다. 이러다간 친정권 인사나 관료 출신이 낙하산으로 내려앉는 ‘관치금융’이 재현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BNK금융지주 회장 선임은 지난달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지적 이후 급하게 개정된 ‘최고경영자(CEO) 후보자 추천 및 경영승계 절차’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이 규정에 따라 이미 윤곽이 드러나 있는 BNK 계열사 대표 9명 외에, 외부 후보군 10명을 해드헌터 업체 2곳에서 5명씩 추리고 있다. 그러나 이 업체가 어떤 방식과 기준으로 후보를 물색하는지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런 비밀주의가 로비를 차단하기 위한 안전장치일 수 있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외부 입김 작용 가능성을 훨씬 키우는 측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업체가 작성한 리스트에 누군가 특정인을 끼워넣어도 이를 견제할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석연치 않은 대목은 이뿐 아니다. BNK 이사회가 경영 승계 내규를 바꿀 때 후보군을 내부 인사로 제한한 부분만 손을 대고 연령 관련 규정은 고치지 않았다. 다른 금융지주에는 회장 후보를 만 70세 이하로 하는 ‘70세 룰’이 있으나 BNK는 없다. 당초 정치권과 금융당국의 지적사항에 ‘나이’는 없었다는 게 이사회측 입장이지만, 차기 회장감으로 거론되는 후보 상당수가 고령이어서 이 설명을 그대로 믿는 사람은 많지 않다.

회장 선임권을 가진 임추위에 지역 현실을 잘 아는 인물이 거의 없는 것도 문제다. BNK가 대표적인 지역 기업임에도 임추위를 구성하는 사외이사는 대부분 수도권 인사들이다. 지역 여론에 그다지 민감하지 않은 임추위원들이 깜깜이로 추천된 후보자들 중에서 지역 금융 발전을 도모할 적임자를 제대로 가려낼 수 있을지 걱정하는 건 당연하다. 국회의원 말 한마디에 불과 4년 전에 만들어놓은 후보자 추천 규정을 완전히 뒤집은 게 이들이어서 더욱 그렇다.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금융지주 8곳의 이사회 의장과 간담회를 가졌다. 여기서 금감원장의 발언은 “최고경영자 선임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수준에 그치긴 했다. 그러나 의장들을 한자리에 불러 모은 것 자체가 모종의 메시지를 주기 위함이라는 해석이 무성하다. 안 그래도 BNK 회장직 하마평에 오른 외부인사들은 정치권에 막강한 배경이 있는 사람들이다. 당사자들은 자신의 의지가 아니라 하지만 이유 없이 이름이 오르내리진 않는다. 오는 13일 후보군이 확정된다. 매번 외풍에 시달리는 BNK 회장 선임 과정에 이번에도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는지 지역 사회가 주시하고 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