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배 복수하듯…모로코, '무적함대' 스페인 꺾고 8강

최하은 기자 2022. 12. 7. 21: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작권 관계로 방송 영상은 서비스하지 않습니다.
☞ JTBC 홈페이지에서 영상 보기
https://news.jtbc.co.kr/article/article.aspx?news_id=NB12106236

[앵커]

한때 스페인의 식민 지배를 받았던 모로코는 그 역사에 복수하듯, 8강의 기적을 이뤄냈죠. 골키퍼의 눈부신 선방에 모로코 시민과 유럽 곳곳의 이민자들이 거리로 나와 열광했습니다.

최하은 기자입니다.

[기자]

< 모로코 0:0 (3 PK 0) 스페인|2022 카타르 월드컵 16강 >

스페인은 천 번 넘는 패스를 주고받았지만, 골문으로 향한 슛은 두 개뿐이었습니다.

오히려 촘촘한 수비로 버틴 모로코의 역습이 날카로웠습니다.

후반 추가 시간, 스페인의 프리킥을 부누 골키퍼가 막아내면서 승부는 연장으로 이어졌습니다.

공방 끝에 0대0, 결국 승부차기가 펼쳐졌습니다.

4년 전 러시아월드컵 16강전, 지난해 유로 대회도 승부차기로 무너졌던 스페인은 압박감과 싸워야 했습니다.

[루이스 엔리케/스페인 축구대표팀 감독 (경기 전 기자회견) : 1년 전쯤 선수들에게 페널티킥 훈련을 최소 1000번씩 하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첫 키커부터 골대를 때렸습니다.

흔들린 스페인을 주저앉힌 건 부누의 선방입니다.

방향을 정확하게 읽어 두 번 연이어 공을 쳐 냈습니다.

모로코 네 번째 키커는 힘을 빼고 가운데로 차는 대담한 슛으로 승부를 매듭지었습니다.

선수들은 부누를 헹가래 쳤고, 숙소 앞에서 기다린 팬들도 이름을 연호했습니다.

[부누! 부누!]

모로코 시민뿐 아니라 유럽 곳곳의 이민자까지 거리로 쏟아져나와 열광했는데 사상 첫 월드컵 8강 진출, 그 이상의 의미를 남긴 승리이기 때문입니다.

과거 식민 지배를 했던 스페인에 월드컵에서 승부차기로만 네 번 진 팀이란 굴욕까지 안겼습니다.

반전을 거듭하며 돌풍을 이어간 모로코는 이제 아프리카 최초 4강 진출에 도전합니다.

(영상그래픽 : 박경민)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