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강에 단 두 나라...아시아 국가들은 왜 발 쓰는 운동에 약할까
카타르 월드컵에서 16강에 진출한 나라 중 아시아 국가(호주 제외)는 한국과 일본 두 나라뿐입니다. 8강 진출에는 두 나라 모두 실패했습니다. 세계 인구 60% 이상이 사는 아시아는 월드컵 축구 성적이 그다지 화려하지 않습니다. 그 이유를 지역 특성과 진화론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아시아는 1만년 전부터 수작업이 많은 쌀농사를 지어왔습니다. 쭈그리고 앉아 부단히 손을 놀려 쌀농사를 지어온 동양인은 손재주가 좋아서 탁구나 배드민턴, 양궁 등을 잘합니다. 반면 역사적으로 목축과 수렵을 주로 한 서양인은 축구, 럭비 등 다리로 하는 운동에 강점이 있습니다.
아프리카 축구 강국은 세네갈, 나이지리아, 카메룬, 가나 등인데, 이 나라들은 밀림 지대인 중서부에 있습니다. 그곳에서는 순발력이 뛰어나야 사냥감을 잡을 수 있었습니다. 현대 축구는 선수들이 경기당 10km 이상 달리지만, 본질은 폭발적 달리기를 반복하는 것입니다. 아프리카 축구 강호가 밀림 지대에 몰려 있는 이유지요.
반면 마라톤 등 장거리 육상을 지배하는 선수 대부분은 케냐, 탄자니아, 에티오피아 등 동북부 아프리카 출신입니다. 이곳은 초원 지대로 오래전부터 원주민들이 사냥감을 수킬로미터 추격하여 잡곤 했습니다. 털이 있는 짐승은 땀샘이 적어서 장거리를 달리는 데 불리합니다. 땀샘이 잘 발달한 인간은 짐승을 멀리 추격하여 잡을 수 있습니다. 장거리 달리기가 일상이던 동북부 아프리카 사람 후예가 마라톤 강자가 된 이유입니다.
이런 역사적 배경에도 한국 선수들이 16강에 들어간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내 몸 망치는 중성지방, 식후 관리가 중요
- 송도 워터프런트 설계안 설명회 등 주민수용성 크게 높여… 송도 주민위한 배곧대교도 재추진
- 봄맞이 신상
- 비대해진 전립선이 소변길 막을 수도… 금속실로 묶는 시술로 해결
- ‘청정라거’ 테라 GMO에서도 “청정”
- “도심·농어촌·산업단지 어우러진 복합도시, 힐링과 성장이 공존… 인천 중심도시로 재도약”
- 새로운 삶 위한 용기가 필요할 때 ‘에보니&카시스’ 한 방울이면 돼요
- “오목가슴, 미용뿐 아니라 장기 기능에도 문제… 내시경으로 금속막대 넣어 교정 가능”
- “물 재생 전문 공기업으로 전환, 소각시설 CCUS 기술 개발 등 추진”
- [아미랑 칼럼] 마음도 함께 치유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