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더 졸라맬 허리도 없다”…취약층 울리는 ‘소비쇼크’

류영욱 기자(ryu.youngwook@mk.co.kr) 2022. 12. 7. 19: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부채 저소득층, 무주택자 소비위축 더 커
필수소비 비율 높아 충격도 가중
“가계부채 관리해 금융·경기 안정화에 기여”
위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사진 = 매일경제]
금리 상승 여파로 가계의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상승하면 가계소비는 0.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빚이 많은 저소득층이나 무주택자와 같은 취약계층이 더 큰 ‘소비 쇼크’를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7일 한국은행은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기반으로 가계를 부채와 소득수준, 자가 소유여부로 구분한 뒤 금리 상승에 따른 소비감소 효과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가구당 원리금상환비율(DSR)이 1%포인트 오르면 가구의 연간 소비는 평균 0.3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리금상환을 여타 소비보다 우선하면서 필수적이지 않은 재화와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를 줄이기 때문이다.

소비감소 영향은 취약계층에서 더 뚜렷이 나타났다. 부채가 많고 소득이 낮은 가구는 DSR을 1%포인트 올릴때 소비 감소폭이 전체보다 0.1%포인트 큰 0.47%로 조사됐다. 반면 소득이 낮더라도 부채가 적은 가구와 소득이 높고 부채가 적은 가구는 각각 0.05%, 0.13%에 불과했다. 부채가 많고 소득도 적지 않은 가구의 감소폭은 0.46%로 역시 높았다. 그러나 고소득 가구는 필수적이지 않은 소비가 많은만큼 소비 감소 여파를 상대적으로 덜 받게 된다는 것이 한은 설명이다.

오태희 한은 조사국 동향분석팀 과장은 “저소득층의 높은 필수적 소비 비중을 감안하면 질적인 측면에서 소비위축 충격이 고부채-저소득 가구에서 더 큰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부채 수준을 감안하지 않고 소득 기준으로 구분하면 DSR 1% 상승시 저소득 가구는 0.28%, 중고소득 가구는 0.42% 소비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산층 이상은 필수 소비 비중이 낮아 소비를 조정할 여력이 남아있기 때문이다.

부채가 많고 자가주택이 없는 가구는 DSR이 1%포인트 상승할 때 소비가 0.42% 감소해 유주택가구 등 여타 그룹에 비해 소비위축 경향이 심했다. 유주택자(고부채-자가가구)라도 DSR이 20%가 넘어 원리금 상환부담이 크면 소비감소 효과가 0.40%로 크게 나타났다. 반면 DSR이 20% 미만인 주택보유 가구는 0.25%를 기록했다. 이들을 보유 주택을 담보삼는 등 소비 재원을 마련할 여지가 더 크기 때문이다.

한은은 ‘소득대비부채잔액비율(DI)’ 변동과 소비감축의 역학관계도 저소득층에 불리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부채가 많아 DI가 200% 이상인 상황에서 DI가 10%포인트 더 오르면 고부채-저소득 가구의 소비감소 효과가 여타 가구들보다 큰 것으로 조사된 것이다.

한편 DI가 200% 이하인 경우엔 DI가 추가로 상승할 때 오히려 소비가 커지는 추세가 발견됐다. 늘어난 빚을 재화나 서비스값을 지불하는데 쓰기 때문이다. 오 과장은 “중·장기적으로 가계부채를 적절한 수준에서 관리하는 것은 금융안정뿐 아니라 소비를 완만하게 상승시켜 경기를 안정시키는 데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