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재값 급등락하자 … ETN 단기투자 기승

원호섭 기자(wonc@mk.co.kr) 2022. 12. 7.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직장인 A씨는 지난달 말 원유 레버리지 상장지수증권(ETN)에 잠시 돈을 넣었다가 수십만 원을 손해 봤다. 평소 주식 거래를 활발히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원유 선물, ETN에 대한 지식도 있어 용돈이나 벌어보자는 생각이었다. A씨는 "올해 들어 주식 수익률이 좋지 않았는데 주변에서 ETN으로 돈을 꽤 벌었다는 이야기에 잠시 투자했다"며 "원유 선물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는데 보합세가 이어지면서 손해가 났다"고 말했다.

최근 원유·천연가스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레버리지·인버스 같은 파생 상품 ETN에 투자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원자재 레버리지, 인버스 투자로 단기간에 높은 수익률을 낼 수 있다는 소문이 퍼지면서 투자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원자재 가격은 변동성이 크고 방향성도 예측하기 어려운 만큼 투자에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 들어 일평균 ETN 거래대금은 3853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원유 가격이 급락하면서 ETN 거래가 늘어났던 2020년 4월 이후 최고치다. ETN 거래대금은 2020년 이전까지 일평균 300억~400억원대에 머물렀지만 코로나19 확산과 함께 2020년 930억원으로 불어났다. 2020년 4월 원유 가격이 빠르게 내려가면서 당시 원유 선물을 중심으로 한 ETN 거래금액은 일평균 4126억원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후 ETN 거래는 빠르게 식으면서 지난해 일평균 443억원으로 안정세를 되찾는가 싶더니 올해 들어 다시 확대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 3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이 휘청이면서 ETN 거래대금은 800억원으로 증가했는데, 지난 6월 1000억원을 넘기 시작하더니 10월에는 3260억원으로 올해 초보다 7배 가까이 늘어났다.

상장지수펀드(ETF)보다 늦게 국내에 도입된 ETN은 틈새시장을 노리기 위해 ETF에는 없던 천연가스·원유를 대상으로 한 레버리지, 인버스 상품이 주로 출시됐다. 그러다 보니 원유와 천연가스 가격 등락폭이 큰 시기에 ETN 투자가 늘고 있다. 원유와 천연가스 선물 가격 하루 등락폭이 컸던 지난 10월 18일과 21일, 11월 3일을 비롯해 이달 5일 역시 ETN 거래대금이 하루 5000억원 이상 치솟은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업계에서는 최근 상황이 코로나19 시기보다 더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2020년에는 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하던 3~4월 파생 상품 ETN에 대한 거래가 늘었다가 이후 빠르게 안정세를 찾았다. 하지만 올해는 6월 이후 일평균 1000억원 이상의 ETN 거래가 6개월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코로나19 이후 레버리지 ETN에 대한 과도한 쏠림 현상을 막고자 관련 상품 투자를 위해 1000만원 이상의 기본예탁금 규제를 비롯해 사전 온라인 교육을 받도록 조치했다"면서 "하지만 코로나19를 거치며 주식에 투자하는 사람이 과거보다 많아지면서 예탁금 1000만원과 온라인 교육이라는 장벽으로 ETN의 과도한 쏠림을 막기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업계 전문가들은 투자자들이 원자재 ETN에 섣불리 뛰어들면 오히려 더 안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한다. 레버리지와 인버스 상품은 누적 수익률이 기초자산 수익률보다 낮아지는 '복리효과'가 발생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자재 가격 자체가 예측이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천연가스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수급 불안이 예상돼 8월까지 상승세를 이어가다가 비축량이 넉넉하고 올겨울 따듯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자 빠르게 떨어졌다. 최근에는 유럽연합(EU)이 러시아산 원유 가격상한제를 도입하면서 원유 가격 또한 요동치고 있다. 편득현 NH투자증권 자산관리전략부장은 "천연가스와 원유 가격에 미치는 요인이 상당히 많아서 한두 가지 이벤트 발생을 기반으로 가격이 오르거나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기가 쉽지 않다"며 "전문가들도 원자재 ETN 투자가 어려운 만큼 일반 투자자는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내년 1월 1일 시행되는 미국의 '공개 거래 파트너십(PTP)' 규제에 ETN이 적용될 수 있는 만큼 해당 투자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PTP 종목은 매도금액의 10%가 세금으로 원천징수된다. 현재까지 국내 증권업계는 ETN의 경우 PTP를 적용받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고 있지만 확실하게 ETN이 제외된다고 보기는 힘든 상황이다.

[원호섭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