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년 5G 가입수 50억건"… 韓, 중대역 `편식`에 경쟁력 흔들

김나인 2022. 12. 7. 16:5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5G 모바일 가입자' 55%
한국 첫 상용화하고도 전략 실패
사우디·오만 정도만 중대역 사용
박병성 에릭슨엘지 수석네트워크컨설턴트가 에릭슨 모빌리티 보고서를 발표하고 있다. 김나인 기자

오는 2028년까지 전세계 5G 가입 수가 50억건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나왔다. 올해말까지 10억건을 넘어서는 데 이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각 산업현장의 5G 융합도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가운데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한 우리나라는 '리얼5G'로 불리는 28㎓ 초고주파 대역 투자에 뒤지고 있어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 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7일 에릭슨엘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적인 경기침체 상황에도 5G 가입은 올해 말까지 10억 건, 오는 2028년 말까지는 50억 건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체 모바일 가입의 55%를 차지한다.

5G 가입 증가세는 LTE(롱텀에볼루션)에 비해서도 2년 더 빠른 속도다. 5G를 상용화한지 3년이 지나면서 5G 확산이 궤도에 오른 것으로 분석된다. 같은 기간 5G 인구 커버리지는 85%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5G 네트워크는 모바일 트래픽의 약 70%를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까지 세계적으로 약 230개 통신사가 5G 서비스를 시작했고, 700개 이상의 5G 스마트폰 단말이 발표되거나 상용화됐다. 내년에는 더 많은 기능을 갖춘 5G 기기가 등장할 전망이다.

지역별로는 미국 등 북미 지역과 우리나라를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의 5G 성장세가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와 동북아시아 지역은 연말까지 약 35%로 전세계적으로도 높은 5G 가입 보급률을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서비스 가입 현황에 따르면, 10월 말 기준 우리나라 5G 가입자는 총 2698만4458명으로, 전체 이동통신 중 35.2%에 달한다. 박병성 에릭슨엘지 수석네트워크컨설턴트는 "2027년 이후 5G가 주도적인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우리나라의 경우 5G 비중이 35%로 보급률 측면에서는 세계시장을 앞서가고 있다"고 말했다.

국내 통신사는 중대역(Mid-Band)으로 분류되는 3.5㎓ 대역에서는 전국망을 적극적으로 구축해 정부 기준치 70점을 훨씬 뛰어넘는 90점대를 기록하고 있다. 모빌리티 보고서에서는 중대역이 당장 활용이 가능하고 우수한 커버리지로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5G 중대역 인구 커버리지는 연말까지 전세계적으로 2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이동통신사 또한 당장 활용이 가능한 중대역 투자에 전략적으로 집중하고 있다.

다만, 다른 나라 통신사들은 중대역뿐 아니라 고대역(밀리미터웨이브) 5G 주파수를 모두 활용하는데 우리나라는 중대역에만 집중, 서비스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5G 중대역 주파수만 사용하는 나라는 우리나라와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정도이고, 미국, 일본, 호주 등은 중대역뿐 아니라 저·고대역(밀리미터웨이브) 5G 주파수를 함께 쓰고 있다.

5G가 고도화할수록 다양한 주파수 대역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고대역 주파수의 중요성도 커질 전망이다. 특히 XR(혼합현실)이나 메타버스 서비스가 활성화하고 다양한 디바이스가 나타날 경우 트래픽 양도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북미의 경우 5G가 빠르게 확대돼 2028년까지 약 4억2000만 건의 5G 가입이 예상된다. 이는 모바일 가입 건수의 90%를 이상을 차지하는 수치다.

박 컨설턴트는 "미국의 경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SA(스탠드얼론)나 진화된 서비스로 앞서가고 있는데 우리나라는 중대역 위주의 5G 상용화를 세계 최초로 한 후 계속 중대역 투자에만 집중하고 있어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이동통신사의 주파수별 이행 실적을 바탕으로 할당 취소라는 초유의 결정을 내렸다. 5G 28㎓ 대역 할당 당시 정부가 요구한 조건은 사업자별로 기지국 1만5000국 구축이었지만, 설치율은 10.6~12.5%에 그쳤다. 지난 6일 이동통신사의 의견을 듣는 청문 절차를 가진 데 이어향후 최종 의견서 작성을 거쳐 정책 결정을 할 예정이다.

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