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10억 가진 무주택자 5000명 둔촌주공 선택했지만… [매부리레터]

이선희 기자(story567@mk.co.kr) 2022. 12. 7. 08:4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논란 부른 ‘주방뷰’도 2.7대1
“관건은 실제 계약률 여부”
오늘 수도권 1순위 청약
앞으로 둔촌주공에 벌어질 일은
둔촌주공 건설현장 전경
단군이래 최대 재건축 단지 둔촌주공(올림픽파크 포레온) 청약이 시작됐다. 6일 진행된 1순위 당해 지역 청약에서 총3695세대 모집에 1만3647개 통장이 들어왔다. 관건은 중도금 대출이 안되는 전용 84㎡였는데 5000여명이 지원했다. 전용 84㎡는 분양가 13억원대로, 옵션과 이자비용 등을 감안하면 14억~15억원이 필요하다. 둔촌주공은 무주택자만 청약이 된다. 이 때문에 ‘서울에 거주하는 현금 10억원 이상 보유한 무주택자’들이 얼마나 둔촌주공에 호응할지에 관심이 모아졌는데, 뚜껑을 열어본 결과 5000여명이 둔촌주공에 통장을 던진 것으로 나타났다.

6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이날 진행된 올림픽파크 포레온 1순위 청약에는 3695가구 모집에 1만3647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됐다. 평균 경쟁률은 3.69대1이다. 가장 높은 경쟁률은 전용면적 59㎡에서 나왔다. 이 타입은 1488가구 모집에 7362건의 청약통장이 접수돼 평균 경쟁률 4.95대1을 기록했다.

전용84㎡ 지원자는 누구…현금 10억 이상 보유 서울 무주택자

관심은 전용 84㎡였다.

전용 84㎡는 1237가구 모집에 5005건의 신청이 몰렸다. 경쟁률은 4.05대1로 전용 59㎡ 뒤를 이었다. 일부 가구에서 ‘주방뷰 논란’이 불거진 84㎡E 타입도 563가구 모집에 1512건의 신청이 몰려 경쟁률 2.69대1이었다.

이 평형은 분양가가 13억원이 넘어서 중도금대출이 되지 않는다. 입주때 잔금대출을 최대 (LTV 50%) 받는다고 해도 DSR까지 감안하면 연봉 2억원은 돼야한다. 이 때문에 “연봉 2억원의 현금 10억원 가진 서울 사는 무주택자”가 얼마나 둔촌주공에 몰릴지가 관심이었다. 업계에서는 “중도금대출이 되는 전용 59는 무난히 채우겠지만, 84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전용 84도 미달은 없었다.

앞으로 둔촌주공에 벌어질 일

둔촌주공은 미달은 없었지만 11타입이나 예비당첨자(5배수) 인원을 채우지 못해 ‘당해’ 마감에 실패해 ‘기타’ 1순위로 넘어갔다. 서울 웬만한 청약이 ‘당해’에서 마감되던 것에 비하면 화제가 만발했던 둔촌주공 입장에서는 ‘굴욕’인 셈이다.

둔촌주공은 7일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거주자 1순위 청약을 받는다. 여기서도 인원을 채우지 못하면 2순위 청약으로 넘어간다. 2순위는 1순위(청약통장 가입기간 24개월 이상)와 달리 청약 통장만 있으면 된다. 이후에도 미계약 물량이 나오면 무순위 청약으로 넘어간다. 일명 ‘줍줍’이다. 최근 법이 개정돼서 전국에서도 신청할수 있다.

분양업계는 7일 수도권 거주자까지 청약지원자를 넓히면 무난히 예비당첨자까지는 받지 않겠냐고 전망한다. 경기도에서 서울로 갈아타려는 수요들이 몰릴 수 있다는 것이다.

“분당, 판교, 송도, 광교 등 서울로 갈아타길 원하는 수요들까지 감안하면 기타에서는 무난히 채울 것 같아요.”(분양관계자 A씨)

“고금리에 실거주 2년, 전매제한 8년, 중도금 대출도 안되는데 이정도 모았으면 선방했죠. 투자 수요 싹빼고, 정말 실거주해야하는 무주택자들만 대상으로 했는데 이정도면 혹시라도 나중에 미달돼서 무순위 가더라도 완판은 될 것이라 봅니다.”(분양관계자 B씨)

이곳은 당첨 후 계약을 포기하면 재당첨제한 10년이 적용된다.

“서울 청약이 얼마나 귀한데, 재당첨제한 10년 패널티까지 감수하면서 함부로 통장을 던졌을까요? 1순위 기타까지 받고 무난히 계약 마감될 것으로 보여요.”(분양관계자 C씨)

관건은 실제 계약률이다. 청약이 인원을 다 채워서 마감됐다고 끝난 게 아니다. 실제 계약으로 이어져야한다. 경쟁률이 세자릿수로 나오면 당첨자들이 안심하고 계약한다. 나의 선택이 시장의 판단과 맞았다는 확신이다. 그러나 막상 경쟁률이 낮게 나오면 불안함이 가중돼 당첨되고도 계약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둔촌주공 평균 경쟁률은 3.69대1. 그러나 분양업계에서는 “안심할 수 없는 경쟁률”이라는 평이다.실제 통장을 던졌더라도 계약할 때 포기하는 일이 부지기수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10대1 경쟁률 나와도 막상 포기하는 사람들이 속출하는데 둔촌주공이라고 뾰족한 수 있겠어요?”(분양업계 D씨) 최근 청약을 받은 인덕원자이SK뷰도 경쟁률이 5대1이 넘었지만 실제 절반 이상이 계약을 포기해 청약자를 찾기 위해 연달아 ‘무순위 청약’을 하는 굴욕을 겪었다.

사업비를 단기간에 조달해야하는 둔촌주공 입장에서는 미계약이 길어질수록 사업에 치명타다.

분양업계 관계자는 “둔촌주공이 청약자를 못찾아 사업비 조달을 못하면 공사가 늦춰지고, 이로 인해 다른 현장에도 영향을 미치게된다. 분양 시장이 깊은 침체에 들어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둔촌주공에 대한 자세한 전망은 재테크 이메일 매부리레터에서 확인할수 있다. 네이버에서 매부리레터를 검색하면 된다.

네이버에서 매부리레터를 검색하면 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