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1채면 빌라 4채…평균 매맷값 9억5000만원 차이

이송렬 2022. 12. 7. 08: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해 11월 서울 아파트와 빌라의 평균 매매가격이 9억5000만원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8220만원, 빌라(다세대·연립) 평균 매매가격은 3억4796만원으로 집계됐다.

한강 이북(14개 자치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642만원, 빌라 3억1365만원으로 6억9277만원 차이가 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 조사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이 일대 아파트 단지의 모습. 사진=뉴스1


올해 11월 서울 아파트와 빌라의 평균 매매가격이 9억5000만원 차이 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7일 부동산 정보제공 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의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1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2억8220만원, 빌라(다세대·연립) 평균 매매가격은 3억4796만원으로 집계됐다. 가격 차이는 9억5000만원으로 아파트 가격이 빌라의 3.8배 수준이다.

한강 이남(11개 자치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5억3099만원, 빌라 평균 매매가는 3억4796만원으로 가격 격차가 11억8303만원에 달했다.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빌라의 4.4배다. 한강 이북(14개 자치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0억642만원, 빌라 3억1365만원으로 6억9277만원 차이가 났다. 아파트는 빌라보다 3.2배 비쌌다.

서울 아파트와 빌라 평균 매매가격 격차. 사진=경제만랩


가격 차이는 실거래가에서도 나타난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강동구 상일동 아파트 '고덕아르테온' 전용 59㎡는 지난달 10억7000만원 거래됐는데, 암사동 빌라 '암사빌라' 전용 59㎡는 같은 기간 3억4800만원에 손바뀜해 아파트와 빌라의 가격 격차가 7억2200만원에 달했다.

은평구 응암동 아파트 '백련산해모로' 전용 59㎡는 지난달 7억5000만원에 거래됐지만, 빌라 '이노컨스빌’ 전용 59㎡는 3억4800만원에 팔려 4억200만원의 차이가 났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최근 몇 년간 서울 아파트 가격이 급등하면서 실수요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빌라로 눈길을 돌리고 있지만, 빌라의 경우 아파트보다 환금성이 떨어지고 가격 방어도 어렵다는 인식 탓에 아파트와 빌라의 가격 격차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이송렬 한경닷컴 기자 yisr0203@hankyung.com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