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美 안보위협 우려 해소 난항..."협상 진척없어"

임선우 외신캐스터 2022. 12. 7. 07:15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틱톡이 미국의 안보 위협 우려 해소와 관련해 여전히 난항을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6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조 바이든 행정부와 틱톡의 안보 위협 해소를 위한 협상이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미국 외국투자위원회(CFI)와 틱톡은 지난해 안보 우려 해소 방안에 대해 잠정적 합의를 이뤘지만, 바이든 행정부 내에서 합의 내용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최종 타결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미국 정부가 최종 타결을 위한 추가 요구 사항도 전달하지 않아 사실상 협상 자체가 중단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옵니다.

틱톡과 미국의 해묵은 갈등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지난 2020년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인의 개인정보가 중국 정부에 넘어가 악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틱톡의 미국 사업체를 매각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린 바 있습니다.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후 이 같은 조치에 대해 집행 불가를 이유로 취소한 뒤 틱톡과 협상에 나섰습니다.

당시 양측은 일단 틱톡의 미국 사용자 정보를 미국 오라클 서버에 저장하고, 자체 서버 기록을 삭제, 미국 안보 기준에 따른 외부 접근 허용 등의 내용에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법무부를 비롯해 바이든 행정부의 고위인사들이 여전히 안보 우려를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협상이 지지부진한 상태입니다.

여기에 더해 연방수사국(FBI)는 최근 중국 정부가 개인정보를 활용해 각종 정치적 선전 활동을 벌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했고, 또 하원 다수당이 된 공화당 내 중국 강경파 의원들이 목소리가 높아지며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WSJ는 지적했습니다.

더 나아가 마이크 갤러거 하원 의원 등은 틱톡의 미국 내 영업을 금지하는 내용의 법안을 제출하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최근에는 여당인 민주당 내에서도 안보 위협 가능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SBS Biz 기자들의 명료하게 정리한 경제 기사 [뉴스'까'페]

네이버에서 SBS Biz 뉴스 구독하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