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립가구 2732명 찾아 지원한 서울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시, 내년 74곳으로 확대 예정
# 한부모 가정인 김모씨는 이혼 후 홀로 아이들을 키우며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외부활동도 거의 하지 않았다. 그가 달라지기 시작한 것은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한 복지사의 소개로 인근 거점공간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주민모임과 복지서비스를 접하면서다. 김씨는 한부모 가정 미술프로그램에서 활동하며 자녀결연 후원금과 급식 등을 지원받고 있다. 김씨는 “그림을 그리면서 이웃과 만나니 삶을 다시 찾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 서울시복지재단과 함께 시범 도입한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이 올해 21개 자치구, 55개 복지관으로 늘었다고 6일 밝혔다. 이를 통해 고립가구 2732명, 취약계층 1만9985명을 발굴해 지원했다. 지난해만 해도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은 25개에 불과했다.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은 복지관 소속 복지사가 직접 주거취약지역을 찾아 주민을 만나 실태를 파악한 뒤 이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 개념이다. 이곳에서는 주거취약지역 방문 및 주민 만남·상담 등을 하는 문고리캠페인과 찾아가는 이동복지관, 위험가구 신고함(편의점·재래시장 등) 등을 운영한다. 또 동주민센터·지역상인회·종교기관 등 245개 민관협력체 가동을 통해 위기가구를 발굴·지원한다.
지역사회에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임대주택 내 상가 등 유휴공간을 활용해 거점공간도 마련했다. 이곳에선 1인 가구 식사, 저소득 미술·음악 심리치료지원, 공동체나눔활동 등 다양한 주민 교류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거점공간 확보를 위해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는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H는 올해부터 영구임대단지 내 유휴공간 15곳을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거점공간으로 무상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는 내년에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사업을 74개 사회복지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성희 기자 mong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도 부정선거라 생각했다”···현장 보고 신뢰 회복한 사람들
- 국힘 박상수 “나경원 뭐가 무서웠나···시위대 예의 있고 적대적이지도 않았다”
- 늙으면 왜, ‘참견쟁이’가 될까
- 공영방송 장악을 위한 이사장 해임 “모두 이유 없다”…권태선·남영진 해임무효 판결문 살펴
- 내란의 밤, 숨겨진 진실의 퍼즐 맞춰라
- ‘우리 동네 광장’을 지킨 딸들
- 대통령이 사과해야 되는 거 아니에요? 사과해요, 나한테
-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에 차량 돌진…70명 사상
- [설명할경향]검찰이 경찰을 압수수색?···국조본·특수단·공조본·특수본이 다 뭔데?
- 경찰, 경기 안산 점집서 ‘비상계엄 모의’ 혐의 노상원 수첩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