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3 협의체' 가동…예산안 담판 시도

임혜준 2022. 12. 6. 19: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이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협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핵심 쟁점에 대한 이견이 여전한데, 오늘부터는 여야 원내대표들이 직접 나서서 조율을 시도하고 있는데요.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임혜준 기자.

[기자]

네, 정기국회 회기가 이제 꼭 사흘 남았습니다.

앞서 여야는 당 정책위의장과 예결위 간사간 '2+2 협의'를 통해 내년도 예산안에 대한 협상을 이어왔습니다.

이틀간 진행된 협상에서 여야는 총 639조원의 예산안의 사항별 증감액에 대한 논의를 했는데요.

청년원가주택 등 윤석열 정부 정책과제 예산 삭감폭을 줄이고, 민주당이 강력하게 추진 중인 공공임대주택 등 예산은 일부 증액하는 등 의견 조율이 이뤄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다만 대통령실 이전 관련 예산과 야당이 '부자감세'라고 맞서는 종부세, 금투세, 법인세 등 부수 법안들에서는 아직 평행선을 달리고 있습니다.

여야 모두 이제는 원내대표간 막판 협상의 단계로 넘어갔다는 입장인데요.

오후 김진표 국회의장 주재로 한번 마주 앉았던 여야 원내대표들은 지금 이 시각, 양당 정책위의장과 예결위 간사까지 참여한 '3+3 협의'에 들어갔습니다.

쟁점 예산에 대한 숫자 싸움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양당 모두 정기국회 회기 안에 예산안을 처리해야한다는 데에 일단은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만큼, 접점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앵커]

민주노총 총파업과 관련해서도 여야 엇갈린 입장을 내놓았죠.

[기자]

그렇습니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는 오늘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노총의 파업 명분은 '반노동 정책 저지'라고 하지만, 실질은 '반민생 투쟁', '반정권투쟁'과 다름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조직이 전체 노동자의 이름을 들먹이지만, 일부 귀족 노조원의 특권을 챙기기 위해 온갖 불법을 저질렀다고 비판하면서 하루속히 파업을 중단하고 업무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같은당 성일종 정책위의장도 "민주노총의 파업은 윤석열 정부에 반대하는 '기획정치 파업'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며 비난에 가세했습니다.

반면 민주당은 릴레이 파업 사태와 관련해 강대강 해법을 고수하는 정부에 화살을 돌렸습니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윤석열 대통령이 화물연대 파업을 '핵 위협'에 비유하면서 사태를 극단으로 치닫게 했다며, "검찰총장의 시각으로 접근해서는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는다"고 직격했는데요.

그러면서 문제 해결을 위한 협상 테이블을 재가동시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junelim@yna.co.kr)

#예산안 #원내대표_회동 #민주노총_파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네이버에서 연합뉴스TV를 구독하세요
연합뉴스TV 두번째 유튜브 채널 [연유티] 구독하기
균형있는 뉴스, 연합뉴스TV 앱 다운받기

Copyright © 연합뉴스TV.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