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韓 성장률 1%도 위태”… 주요 IB 암울한 전망 쏟아내

이강진 2022. 12. 6. 19: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티·골드만삭스 등 9곳 보고서
평균 1.1%… 한 달 새 0.3%P 낮춰
주택가격 하락·금융여건 등 악화
노무라는 -1.3% 역성장 전망도
정부 “2023년 상반기 어려움 클 것”
재정 집행목표 ‘역대 최고’ 예고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올해 2%대 중반에서 내년 1%대 초반으로 급격히 떨어질 것이라는 주요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전망이 나왔다. 내년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인 2.0%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정부는 민생 경제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 상반기 재정집행 목표를 올해보다 끌어올리기로 했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9개 주요 외국계 IB(바클레이즈·뱅크오브아메리카-메릴린치(BoA-ML)·시티·크레디트스위스·골드만삭스·JP모건·HSBC·노무라·UBS)가 지난달 말 기준 보고서를 통해 밝힌 내년 한국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1.1%로 집계됐다. 지난 10월 말 전망치 평균(1.4%)과 비교하면 한 달 사이에 0.3%포인트 하락했다.

기관별로는 BoA-ML이 내년 우리 경제가 2%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내다봐 IB 중 가장 높았다. 이어 HSBC가 1.5%, 크레디트스위스·골드만삭스·JP모건 각 1.4% 등의 순이었다. 시티는 내년 한국 경제가 1%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고, 노무라증권은 -1.3%의 역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노무라는 내년 주택가격 하락과 금융여건 악화로 소비가 감소할 것이라며 한국 성장률 하향 조정 배경을 설명했다. UBS는 우리 생산과 수출의 기반이 되는 반도체 등 테크 부문에서 다운사이클에 따른 부진을 예상했다. 반면 9개 IB는 우리 경제가 올해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해 10월 대비 전망치를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바클레이즈·BNP파리바·BoA-ML·시티·골드만삭스·JP모건·노무라·UBS 등 8개 IB의 11월 말 기준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은 올해 3.2%, 내년 2.0%로 집계됐다. 올해 전망치는 10월 말 대비 0.1%포인트 올라갔지만 내년 전망치는 0.3%포인트 떨어졌다. IB들은 미국과 유로존의 소비 관련 지표 개선에도 불구하고 주요국 통화 긴축 여파, 유럽 에너지 위기 등 하방 요인이 상존해 내년 글로벌 경기 둔화를 예상했다.

정부는 복합 경제위기 상황이 이어지는 가운데 내년 초까지 민생 경제 어려움이 클 것으로 보고, 내년 예산의 상반기 집행 목표를 역대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최상대 기획재정부 2차관은 이날 재정집행관계차관회의를 열고 “‘상반기 신속집행 기조’ 아래 내년도 재정집행을 적극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중앙재정의 상반기 신속집행 목표를 올해보다 다소 상향해 설정·관리하고, 지방재정과 지방교육재정도 중앙의 신속집행 기조에 맞춰 적극적 집행계획을 수립해줄 것을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재정 상반기 집행 목표는 지난해와 올해 63%(인건비 등 제외한 재량지출 중 주요 사업비 기준)로 역대 가장 높았으나, 내년에 이보다 더 높은 수준으로 올리겠다는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재정정책의 우선순위를 물가 안정에 두고, 통화·재정 정책을 일관된 방향으로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는 제언을 내놓았다.

비토르 가스파르 IMF 재정국장은 이날 열린 ‘지속가능성장을 위한 재정의 역할’ 국제 콘퍼런스에서 “고물가에 따른 생계위기와 에너지 가격 급등에 대한 대응을 위해 재정지원이 요구되지만, 물가 상승과 국가채무 확대 속도, 경제기반 약화에 대한 시장 우려를 고려한다면 긴축적인 재정운용 유지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콘퍼런스에선 미래세대가 짊어져야 할 재정 부담이 큰 만큼, 이를 고려해 재정을 운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재정학자인 로런스 코틀리코프 미국 보스턴대 교수는 “세대 간 회계분석에 따르면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고령화와 더불어 미래세대가 짊어져야 하는 재정 부담이 심각한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한국에서도 미래세대의 막대한 재정 부담이 전망된 바 있어 재정 격차와 세대 간 회계분석에 기반한 지속가능한 재정운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강진·김준영 기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