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TV도 IP 전송 통해 방송 송출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케이블TV 사업자도 IPTV(인터넷TV)사와 같이 IP(인터넷 프로토콜) 전송 방식을 이용해 유료방송 송출이 가능해졌다.
이번 시행령 개정에 따라 방송법에 유료방송사업자가 신고만으로 전송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중립 서비스 제공 근거가 마련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케이블TV 사업자도 IPTV(인터넷TV)사와 같이 IP(인터넷 프로토콜) 전송 방식을 이용해 유료방송 송출이 가능해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6월 개정된 방송법에 따라 유료방송 기술중립 서비스 신고 수리 기준 등을 정한 '방송법 시행령' 개정안이 6일 국무회의를 통과해 오는 11일부터 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에 따라 방송법에 유료방송사업자가 신고만으로 전송방식을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중립 서비스 제공 근거가 마련됐다.
개정 전에는 IPTV사는 IP 방식으로만, 케이블TV 사는 RF(유선주파수) 방식으로만 전송이 가능했다. RF 전송 방식은 채널 수와 채널당 전송 용량에 한계가 있지만, IP 전송 방식은 채널 확보가 용이하고 전송 속도가 빨라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성장하는 추세다. 이같은 조치는 국정과제인 '글로벌 미디어 강국 실현'을 위해 미디어 산업 전반의 규제를 혁신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이라고 과기정통부 측은 설명했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이번 개정을 통해 유료방송사업자에게 전송방식 선택의 자율성을 허용하게 돼 급속하게 발전되고 융합되고 있는 전송기술 방식을 유료방송사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사업자간 경쟁을 촉진하고 이용자의 편익을 제고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7일 이내 기술중립 서비스 신고가 처리되도록 하고, 필요시 신고 수리에 관한 지침을 마련해 유료방송사업자에게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김나인기자 silkni@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돼지보다 못하다"…초등 5학년생들에게 폭언 퍼부은 교사
- [월드컵] "댄스 경연 대회하냐…무례하다" 브라질 세리머니 비판 쇄도
- "가방 살 돈 보내"…임용 앞둔 전 남친, 바람핀 사실 폭로한 30대女
- 회장 승진하자마자 13만 직원에게 1억씩 쏜 그녀, `사기 혐의` 완전 벗었다
- "지금 집 앞인데, 혼자 있으신가요?"…남고생 찾아간 20대 男
- 기재부 예산기능, 대통령 직속? 국무총리실 산하?
- `이재명은 죽어도 안된다`는 빅텐트 가능할까?
- 65만명 설계사 반발에… 대선 앞둔 보험 개혁 `후퇴` 우려
- "신체능력 타의 추종 불허"…러, 북한군 훈련 영상 첫 공개
- 5월 中企 경기전망 제자리걸음… 제조업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