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관 멀어서 소외되지 않도록 ‘지역밀착 사회복지관’···취약·위기·고립가구 2732곳 찾아냈다
# 한부모 가정인 김모씨는 이혼 후 홀로 아이들을 키우며 우울증을 앓고 있었다. 외부활동도 거의 하지 않았다. 그가 달라지기 시작한 것은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에서 일하는 한 복지사의 소개로 인근 거점공간에서 진행 중인 다양한 주민모임과 복지서비스를 접하면서다. 김씨는 한부모가정 미술프로그램에서 활동하며 자녀결연 후원금과 급식 등도 지원 받고 있다. 김씨는 “그림을 그리면서 이웃과 만나니 삶을 다시 찾은 기분”이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지난해 7월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와 서울시복지재단과 함께 시범 도입한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이 올해 21개 자치구, 55개 복지관으로 늘었다고 6일 밝혔다. 이를 통해 고립가구 2732명, 취약계층 1만9985명을 발굴해 지원한 것이다. 지난해만 해도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은 25개에 불과했다.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은 복지관 소속 복지사가 직접 주거취약 지역을 찾아 주민을 만나 실태를 파악한 뒤 이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복지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핵심 개념이다. 이곳에서는 주거취약지역 방문 및 주민만남·상담 등을 하는 문고리캠페인과 찾아가는 이동복지관, 편의점·재래시장 등 위험가구 신고함 등을 운영한다. 동주민센터·지역상인회·종교기관 등 245개 민관협력체 가동을 통해 위기가구를 발굴·지원한다.
지역사회에 가깝게 다가가기 위해 임대주택 내 상가 등 유휴공간을 활용해 거점공간도 마련했다. 1인 가구 식사, 저소득 미술·음악 심리치료지원, 공동체나눔활동 등 다양한 주민 교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거점공간 확보를 위해 서울시사회복지관협회는 지난해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LH는 올해부터 영구임대단지 내 유휴공간 15곳을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거점공간으로 무상 제공하고 있다.
서울시는 내년에는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사업을 74개 사회복지관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 사업을 통해 고립가구 발굴, 주민관계망 형성, 복지 사각지대 최소화, 고독사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복지관이 멀어서 복지서비스에서 소외되는 시민이 없도록 지역밀착형 사회복지관이 지역으로 보다 밀착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성희 기자 mong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과해” “손가락질 말라” 고성·삿대질 난무한 대통령실 국정감사 [국회풍경]
- 수능 격려 도중 실신한 신경호 강원교육감…교육청·전교조 원인 놓고 공방
- [스경X이슈] ‘나는 솔로’ 23기 정숙, 하다하다 범죄전과자까지 출연…검증 하긴 하나?
- “이러다 다 죽어요” 외치는 이정재···예고편으로 엿본 ‘오겜’ 시즌2
- [단독] ‘김건희 일가 특혜 의혹’ 일었던 양평고속도로 용역 업체도 관급 공사 수주↑
- 유승민 “윤 대통령 부부, 국민 앞에 나와 잘못 참회하고 사과해야”
- “부끄럽고 참담” “또 녹취 튼다 한다”···‘대통령 육성’ 공개에 위기감 고조되는 여당
- 김용민 “임기 단축 개헌하면 내년 5월 끝···탄핵보다 더 빨라”
- [한국갤럽]윤 대통령, 역대 최저 19% 지지율…TK선 18% ‘지지층 붕괴’
- 민주당, 대통령 관저 ‘호화 스크린골프장’ 설치 의혹 제기… 경호처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