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경제 불확실성↑…지출압력 조정·자원 효율적 재배분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로 국가채무 증가 등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재정부담도 증가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재정운용을 위해 재정 우선순위를 정하고 효율적으로 재배분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 나왔다.
블론달 국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채무 증가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 인구 고령화,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른 추가적 지출압력 및 경제 불확실성 확대가 재정부담을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구 고령화,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재정 지속가능성 확보 위한 양질의 예산제도 필요"
블론달 국장은 “코로나19로 인한 국가채무 증가와 함께 기후변화 대응, 인구 고령화, 지정학적 긴장 등에 따른 추가적 지출압력 및 경제 불확실성 확대가 재정부담을 증가시킨다”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한 세입감소와 지출증가는 국가부채의 급격한 증가로 이어져 정부의 재정부담을 가중시킨다”면서 “기후변화 대응, 인구 고령화, 보건의료 및 사회적 돌봄 증가 등의 도전과제와 최근의 불안정한 지정학적 상황은 추가적 재정지출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지속가능한 재정운용을 위해 총량적 재정규율과 우선순위 분야에 대한 자원배분을 설정하는 종합적 예산제도 개혁이 요구된다는 제언이다. 블론달 국장은 “재정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해서는 현재와 미래의 지출압력 조정 및 자원의 효율적 재배분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양질의 예산제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OECD는 △명확한 재정목표 설정 △중립적 경제적 가정 △기준선 재정지출 제시 △하향식 지출한도 설정 △지출검토 등 양질의 예산제도를 구성하기 위한 10대 핵심요소를 제시한 바 있다. 블론달 국장은 “각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공지유 (noticed@edaily.co.kr)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벤투 "4년 재계약" 요구에 축협 "1년만" 딜..재계약 물건너 가
- 성범죄로 7번 형사처벌인데..또 3세 여아 추행했다
- 이강인, 경기 후 네이마르와 유니폼 교환…“네이마르가 요청했다”
- "헤어진 여친 고통 주려"…군인 살해·총기탈취한 남성[그해 오늘]
- 교수 임용 앞둔 전 남친에…"바람폈다" 글 올린 여성
- [단독]빅뱅 탑, 日 억만장자와 2023년 우주여행 떠난다
- '한국 대표팀과 작별' 벤투 감독 "같이 한 선수 가운데 최고였다"
- 최대어 `둔촌주공`도 `특공` 일부 미달…6일 1순위 청약 `관심`
- 지하철서 노인이 끌던 쇼핑카트…승강장 틈에 바퀴 빠져
- 조규성 아버지 “아들, 해외 진출 진행…주전 보장되는 팀 원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