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땅 속에 뜨거운 암석 기둥 있다 [여기는 화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조하고 먼지투성이인 화성의 땅 속에 뜨겁고 거대한 암석 기둥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IT매체 씨넷은 5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인사이트호가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화성 지하 맨틀에 지표면을 향해 위로 상승하는 뜨거운 암석 기둥이 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후 화성 지하에 흐르는 마그마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적이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건조하고 먼지투성이인 화성의 땅 속에 뜨겁고 거대한 암석 기둥이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IT매체 씨넷은 5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인사이트호가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화성 지하 맨틀에 지표면을 향해 위로 상승하는 뜨거운 암석 기둥이 있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실렸다.
인사이트호는 화성 적도 부근 엘리시움 평원(Elysium Planitia)의 '케르베루스 포사이'(Cerberus Fossae) 지역에서 규모 3.3과 3.1의 강한 진동을 감지했다. 이 지역은 앞서 규모 3.6과 3.5의 진동이 기록됐던 곳이다.
이 곳은 수백만 년 내에 용암이 흘렀을 수도 있는 화산활동 지역으로 추정되는데, 이후 탐사위성이 화진으로 바위들이 굴러 떨어진 것으로 보이는 흔적을 포착하기도 했다.
미국 애리조나 대학 아드리안 브로케(Adrien Broquet)와 제프리 앤드류스-한나(Jeffrey Andrews-Hanna)는 연구 논문을 통해 이 지역의 지진이 모두 ‘맨틀 플룸’(mantle plume)이라는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고 밝혔다.
맨틀 플룸은 맨틀과 핵의 경계인 3000㎞ 깊은 지하에서 뜨거운 맨틀이 상승해 지각 근처까지 올라오는 현상 또는 지각 근처까지 올라온 분수 형태의 원통형 마그마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땅 속에 멘틀 플룸이 존재하면, 그 기둥이 위에 있는 땅을 눌러 큰 언덕을 만들고 균열을 일으켜야 한다고 설명했다. 케르베루스 포사이는 정확히 그러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맨틀 플룸이 형성된 지각이 진화하는 과정과 해당 지역의 변화 모습이 정확히 일치한다고 밝혔다. 또, 이 지역의 온도가 주변 지역보다 최대 최대 285도 더 뜨거운 점도 가능성을 높인다고 덧붙였다.
연구진은 "이는 화성이 지금도 지진과 화산 활동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구역학적으로 활동적인 내부 모습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인사이트호가 2018년 화성에 도착한 이후 화진을 여러 번 관찰했다. 이후 화성 지하에 흐르는 마그마가 있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나온 적이 있다.
최근 인사이트호는 태양 전지판에 먼지가 덮이면서 전력 공급이 안 돼 곧 수명을 다할 전망이다.이후 화성의 내부 소리 관찰은 차세대 탐사 로봇이나 우주비행사에게 맡겨질 전망이라고 씨넷은 전했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
©메가뉴스 & ZDNET, A RED VENTURES COMPANY,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누리호 4회 추가발사,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맡는다
- 지구 관측 인공위성, 촬영한 사진을 스스로 검증한다
- 화성 북극, 새 3D 지도로 봤더니…"지하 협곡 드러나" [여기는 화성]
- 달 근접한 '오리온 우주선'이 찍은 달..."코 앞에서 보는 듯" [우주로 간다]
- 세계 최초로 장애인 우주비행사 탄생
- 탐사로버가 포착한 ‘화성의 일식’…"멋지네" [여기는 화성]
- [ZD 브리핑] 이번 주 꼭 챙겨봐야 할 뉴스
- [지디 코믹스] 너튜브의 배신, 코리아의 무심
- 갤S23 울트라가 밤하늘 별자리 또렷하게 찍을 수 있는 이유
- 플래그십 스마트폰 150만원 '훌쩍'...TV·냉장고 한대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