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형 보전이냐 매립이냐… 광주 풍암호 수질 개선 사업 ‘표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광주 최대 규모인 풍암호 수질 개선 사업이 '원형 보전'과 '매립' 사이에서 길을 잃었다.
5일 광주시와 정치권에 따르면 풍암호수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지역민과 정치권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3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간담회에선 "원형 보전을 하면서 수질 개선 방안을 찾아 달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시 “수량 줄여야 수질 개선”
내일 주민협의체 회의 결과 주목
광주 최대 규모인 풍암호 수질 개선 사업이 ‘원형 보전’과 ‘매립’ 사이에서 길을 잃었다. 원형을 보전한 상태에서 수질을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시민단체·정치권의 목소리와 수질 개선엔 매립이 최선이라는 광주시의 의견이 맞부딪쳐 접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5일 광주시와 정치권에 따르면 풍암호수 수질 개선 방안에 대한 지역민과 정치권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지난 3일 광주시청에서 열린 간담회에선 “원형 보전을 하면서 수질 개선 방안을 찾아 달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다. 간담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과 양향자·강은미·김경만 국회의원, 이명노 시의원, 천정배 전 국회의원, 김이강 서구청장, 전주언 전 서구청장 등이 참석했다.
양 의원은 “풍암호는 광주시민의 삶이 녹아 있는 살아 있는 역사이자 문화적 자산”이라며 “광주시가 호수 매립을 주장하면서 수질 개선 효과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는데 주민들이 납득할 수 있겠나”라고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 이어 “호수 매립 시 장마·태풍 때 홍수가 우려되고 녹조와 싱크홀, 지하수 고갈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라고 했다. 천 전 의원도 “풍암호는 1956년 축조 당시 평균 수심 4.2m였지만 지금은 토사가 퇴적되면서 2.84m로 낮아져 일부러 수심을 낮출 필요가 없다”며 “지하수를 유입해 수질을 개선하겠다는 계획은 지하수 고갈과 싱크홀 발생 등 환경 재난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광주시는 “수질을 개선하려면 수량을 줄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호수 매립이 최선”이라며 “수질 개선과 원형 보전 모두 충족하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원형 보전을 위해선 매년 300억원대의 수질 개선 유지 비용이 들고 화학적 처리 방식은 입증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7일 광주시와 시의회, 서구의회, 주민 등 48명으로 구성된 주민협의체의 첫 회의가 열린다”며 “의견을 충실히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풍암호는 광주 대표 관광명소이자 140만 광주시민의 휴식처 역할을 해 왔다. 하지만 지난 수년간 녹조와 악취가 발생하면서 주민 민원이 이어져 왔다. 이에 따라 광주시는 지난 9월 ‘풍암호 수질 개선 계획’을 밝혔다.
광주 홍행기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