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 인구 1만 6000명 붕괴 초읽기

김상화 2022. 12. 6.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육지에서 덩치가 가장 적은 경북 영양군의 인구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5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영양 인구는 1만 6058명으로 집계됐다.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로 현행 지방자치법상 읍 설치 기준인 인구 2만명이 안 되는 지자체는 섬인 경북 울릉군과 영양군 두 곳뿐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작년 사망자, 출생자의 6배
주소지 이전 운동도 역부족
경북 영양군민들이 ‘내고장 주소갖기’ 거리캠페인을 펼치고 있다.영양군 제공

육지에서 덩치가 가장 적은 경북 영양군의 인구가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

5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기준 영양 인구는 1만 6058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보다 262명이 더 줄었는데, 사망률이 출생률보다 높은 데다 타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전출자가 증가한 탓이다. 이로써 2019년 1만 7000명 선 붕괴 이후 불과 3년 만에 1만 6000명 선 붕괴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그러나 당장 위기를 막을 묘책이 없다. 가장 큰 문제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데스 크로스’ 현상이 일상화된 것이다. 지난 한 해 동안 252명이 사망했지만 출생자는 42명에 그쳤다. 사망률이 출생률의 무려 6배였다.

군은 인구 1만 7000명 선 붕괴를 앞두고 ‘지역 시한부 위기’를 선언하고 인구 감소 극복을 위해 보건·복지·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눈물겨운 노력을 쏟았다. 특히 영양군청 공직자를 시작으로 지역 기관과 기업 직원들을 대상으로 주소지 이전 운동을 집중적으로 추진했다. 이런 과정에서 ‘거주 이전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원성을 사기도 했다. 하지만 백약이 무효였다.

고령화로 인한 인구 감소로 현행 지방자치법상 읍 설치 기준인 인구 2만명이 안 되는 지자체는 섬인 경북 울릉군과 영양군 두 곳뿐이다. 영양 인구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7만명 선을 유지했으나 이후 고령화 등으로 계속 감소해 2003년 2만명 선이 무너졌다.

영양군 관계자는 “인구가 계속 줄어들면서 자치 기반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면서 “내년까지 지방소멸대응기금 126억원을 투입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해 보겠지만 자연 감소를 웃도는 인구 증가책이 마땅하지 않다”고 말했다.

영양 김상화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